[사설]식품업계 원료비 핑계로 가격 올려 기록적 실적 냈으나…

  • 동아일보
  • 입력 2023년 8월 28일 23시 54분


코멘트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을 이유로 제품 가격을 크게 올렸던 주요 식품업체들이 올해 상반기 최대 실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원가 부담으로 업황이 악화돼 가격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했지만, 결과적으론 비용 상승분을 상쇄하고도 남을 정도의 이익을 남긴 것이다. 그사이 원재료 가격은 내렸지만 한번 오른 가격은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동아일보가 주요 식품 상장사들의 상반기 실적을 분석해보니 대체로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최소 30% 이상 늘었다. 농심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상반기 전체로는 203%, 2분기에는 1162% 폭증했다. 영업이익률이 낮은 식품업계에서는 드물게 두 자릿수 영업이익률을 기록한 업체들도 나왔다.

식품업체들의 실적이 크게 개선된 배경에는 해외 사업 호조 등의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제품 가격을 크게 올린 게 한몫했다. 식품업체들은 국제 유가, 곡물 가격 상승 등의 이유를 들어 지난 2년간 3차례 이상 가격을 올렸다. 하지만 지난 1년간 밀가루 등 주요 원재료 가격이 하락하자 이번엔 물류비, 인건비 등 다른 인상 요인을 들어 가격 인하 요구를 외면하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물가는 평균 6.8% 올라 소비자물가 상승률(2.3%)을 크게 웃돌았다.

지난달 정부의 압박으로 식품업체들이 라면 등 일부 제품의 가격을 소폭 내리긴 했다. 하지만 주력 제품은 가격 인하에서 제외하거나 제품 중량을 함께 줄이면서 ‘꼼수 인하’라는 비판을 받았다. 추석을 앞둔 다음 달부터는 돼지·닭고기 육가공 제품 가격이 또 10% 이상 오를 예정이어서 식료품 지출 비중이 큰 저소득층의 부담이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식품업체를 향해 ‘그리드플레이션(탐욕+물가상승)’이란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기업의 경영 노력으로 실적이 개선되는 것은 바람직하지만 외부 상황을 핑계로 가격을 과도하게 올려 소비자에게 손실을 떠넘기는 것은 지나치다. 원가 인상 요인이 발생할 때는 즉각 반영하더니 인상 요인이 사라지자 나 몰라라 한다면 소비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 기업들은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기에 앞서 원가 절감 및 경영 합리화 방안부터 최대한 강구해야 한다.
#원재료 가격 상승#상반기 실적#영업이익#꼼수 인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