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5년간 공공기관들의 비대해진 조직과 폭증한 부채를 고려할 때 개혁은 더 미룰 수 없는 과제다. 작년 말 350개 공공기관의 인원은 44만3000명으로 5년 전보다 35%, 11만5000명 늘었다. 지난 정부가 공공기관장 평가 때 ‘일자리 창출 노력’을 강조하고, 비정규직 제로(0)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인 탓이다. 2017년 24조2000억 원이던 공공기관 인건비도 지난해 30조 원을 넘어설 정도로 급증했다.
공공기관들의 적자, 부채는 날로 악화하고 있다. 지난해 공공기관 두 곳 중 한 곳은 적자였다. 전체 공공기관의 부채는 583조 원으로 5년간 82조7000억 원 늘었다. 올해 정부예산 607조 원에 맞먹는 규모다. 올해 1분기에만 7조8000억 원 적자를 낸 한국전력이 특히 심각하다. 지난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탈원전 정책으로 액화천연가스(LNG) 발전 비중이 높아진 상태에서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LNG 가격이 폭등하자 적자 폭이 더 커지고 있다. 전기요금을 올리지 않으면 올해 적자가 30조 원까지 늘어날 것이란 전망까지 나온다.
한국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공공기관 수가 제일 많다. 정부가 할 일까지 대신하면서 ‘정책 비용’을 떠안는 바람에 부실은 더욱 커지고 있다. 공공기관의 빚은 정부가 보증을 선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숨겨진 나랏빚’으로 불린다. 감당할 수 없이 불어나면 결국 국민 세금으로 메워야 한다. 공공기관의 군살을 확 빼지 않으면 나라 살림이 결딴 날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