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의 사찰 의혹은 역대 정보기관의 어두운 그늘이었다. 현 정부 들어 국정원의 국내파트 정보 수집이 법적으로 금지됐지만 그 이전까지 국정원은 정치인과 유력 인사들의 동향 정보를 관행적으로 수집했었다. 국정원 개혁발전위원회는 MB 정부 국정원의 사찰 사실을 2017년 공식 확인했다. 이어 지난달까지는 사찰 대상이 된 개인들과 시민단체 차원에서 정보공개 청구소송을 진행해 왔다.
국정원이 주요 인사들을 상대로 ‘직무범위를 이탈해서 불법적으로’ 사찰을 한 것이 사실이라면 그냥 모른 척 넘어갈 수는 없는 일이다. 조직적인 부정과 탈법에 눈감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여당이 4·7 서울·부산시장 보궐선거를 50여 일도 남기지 않은 시점에 갑자기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이슈화하고 나선 것은 선거용이라는 의심을 지우기 어렵다.
국정원은 그제 정보위 보고에서 “문건엔 적법, 불법의 국가기밀과 개인정보가 모두 담겨 있다”고 밝혔다. 문건 내용의 탈법 여부를 가려서 분류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이고, 현 시점에서의 공방이 실체적 진실 규명보다는 정치 공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더구나 여당이 아무리 의도가 순수하다고 주장해도 문제를 제기한 시점이 적절치 않으면 선거 개입 논란에서 자유롭기 어렵다. 여야가 진정으로 국정원의 어두운 과거사를 정리하겠다면 사찰 규명은 보궐선거 이후로 미뤄야 한다.
“국민을 아무리 개돼지로 안들…” 文캠프 출신 변호사 중수청 비판
‘尹 태도’ 지적한 정세균에…김경율 “삼권분립 엿바꿔 드셨나”
[단독]윤석열측 “尹총장, 이르면 오늘 사의 표명할 듯”
윤석열 “중수청 설치, 檢폐지 시도”… 3일 대구 방문해 추가메시지 낼듯
홍준표 “공수처 이어 중수청 설치? 文 수사 두려워서”
윤석열 “검수완박은 부패 판치게 하는 부패완판”
Copyright by dongA.co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