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대표가 처음 만났다고 해서 그동안 꼬인 실타래가 일거에 풀리진 않을 것이다. 하지만 이번 여야 대표 조합은 과거 대표 진용에 비해 합리적 중도 성향의 공감대가 있어 그 어느 때보다 협치 복원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높은 편이다.
21대 국회는 시작부터 군사작전을 방불케 하는 거여의 독주로 파행의 연속이었다. 최소한의 상임위 법안 심의절차까지 묵살하며 밀어붙인 입법 폭주의 역풍은 민심 이반을 불러왔다. 이 대표가 취임하면서 ‘겸손’을 거듭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협치의 물꼬를 트기 위해선 국회 파행의 단초를 제공한 상임위원장 독식을 정상화하는 여야 간 재협상도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
어제 시작된 21대 첫 정기국회에는 논란이 많은 정부·여당 법안들이 줄줄이 대기 상태다. 지난달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공정거래법 개정안 등 공정경제 관련 3법을 비롯해 명분과 현실의 괴리로 인해 현장에서 우려가 쏟아지는 법안들이 수두룩하다. 시급한 민생 현안도 아닌 데다 정쟁으로 번질 소지가 큰 의원 입법안도 적지 않다. 여당은 입법 속도전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야당과 경제 현장의 목소리에도 귀 기울이면서 보다 성숙한 해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