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구글·페북에 ‘뉴스 제값 받기’… 美언론이 뭉쳤다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12일 00시 00분


코멘트
뉴욕타임스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2000곳의 미국 온·오프라인 언론사들이 구글과 페이스북에 맞서 뉴스에 제값을 지불하라며 공동 대응에 나섰다. 뉴스미디어연합(NMA)을 앞세워 단체협상을 하는 한편 이 협상이 반독점법의 적용을 받지 않게 하는 입법도 미 의회에 요구할 방침이다. 인터넷포털이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는 뉴스를 직접 생산하는 기자는 채용하지 않은 채 헐값에 언론사들의 뉴스를 이용해왔다. 이런 횡포를 더 이상 참지 못하겠다며 미국 언론사들이 자구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언론사가 제공하는 뉴스는 구글이나 페이스북 같은 공룡 인터넷기업의 사이트를 방문하는 이용자 수를 늘리는 데 없어서는 안 될 요소다. 이는 온라인 광고수익의 증가로 이어져 이들 인터넷기업은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미국 내 연간 온라인 광고수익의 70%(730억 달러)를 차지하는 기업이 구글과 페이스북이다. 하지만 두 기업에 뉴스를 제공하는 언론사들은 정당한 대가는 고사하고 언론사의 브랜드까지 잊혀지는 지경이 됐다고 미 언론은 전한다. 오죽하면 뉴욕타임스나 월스트리트저널 같은 세계적 언론사들까지 발 벗고 나섰을까 싶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좌우하는 국내 온라인뉴스 시장 상황은 더 심각하다. 국내 이용자들은 인터넷 뉴스의 55.4%는 네이버에서, 22.4%는 다음카카오에서 각각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이용자들의 뉴스 소비로 연간 3500억 원이 넘는 수익을 얻고 있다는 추산도 나왔다. 하지만 두 포털이 신문사에서 뉴스를 받고 내는 돈은 연간 약 300억 원에 불과하다. 네이버의 매출액이 2012년 1조8000억 원에서 4년 만인 작년에 4조 원으로 껑충 뛴 배경에는 이런 불공정 독과점 구조가 있다.

신문 덕분에 막대한 수익을 얻는 것이 분명한데도 포털은 이런 사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고도의 훈련 과정을 거쳐 숙련된 기자들이 치열한 게이트키핑 과정을 통해 생산하는 신문의 뉴스는 결코 공짜가 아니다. 하지만 네이버와 다음카카오에서 손쉽게 뉴스를 검색할 수 있는 구조 때문에 ‘뉴스는 공짜’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는 것이다. 이제라도 네이버와 다음카카오는 뉴스 유통을 통해 얻는 부당한 이득을 환원해야 한다. 정부도 건강한 언론 생태계 정착을 바란다면 선진 미국에서조차 왜 유수의 언론들이 직접 행동에 나섰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구글#페이스북#국내 온라인뉴스 시장#뉴스 제값 받기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