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성호의 옛집 읽기]<51>‘기호예학의 단청’ 쌍청당

  • Array
  • 입력 2012년 4월 11일 03시 00분


코멘트
동아일보DB
동아일보DB
대전 대덕구 중리동은 대대로 은진 송씨(恩津 宋氏)들이 모여 살던 곳이다. 옛날에는 이 마을을 윗중리, 백달촌 또는 하송촌이라 불렀는데 마을 동쪽은 상송촌으로 동춘당과 고택이 있다. 은진 송씨들이 이곳에 모여 살게 된 것은 고려 때부터인데 입향조(入鄕祖)는 송명의지만 그의 손자로 쌍청당(雙淸堂)을 지은 쌍청당 송유(宋愉·1389∼1446)에 의해 가문이 번성해서 은진 송씨들은 송유를 중시조로 모시고 있다.

계족산 줄기가 북에서 남으로 흘러가면서 쇠스랑처럼 몇 개의 자락이 ‘물(勿)’자 꼴로 뻗어 북에서부터 읍내동, 송촌동, 가양동이 勿자의 한 계곡씩 차지하고 있다. 쌍청당은 송유가 낙향해서 1432년에 안채에서 조금 떨어져 지은 별당이다. 꽤 오래된 집인 만큼 나중에 지어질 이 동네 집들의 전형이 된다. 집 이름을 자신의 호로 삼는 것은 왕왕 있는 일이지만 이 동네에서는 유난히 눈에 많이 띈다.

이 집은 민가임에도 불구하고 특이하게 단청이 되어 있다. 당시 단청 원료는 중국에서 수입해 썼으므로 대단히 비쌌다. 이러한 사치를 보다 못한 세종은 1429년 민가에 단청하는 것을 금했다. 지금처럼 미디어가 발달한 시대가 아니라서 이 법이 실제로 시행되기까지는 꽤 시간이 걸렸을 것이고, 동춘당은 그 와중에 옛 방식으로 단청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런데 이 집은 그 후 1937년까지 7차례를 중수하면서 계속 이 단청을 유지해 왔다. 1563년 중수기에 “가정 계해년에 내가(송남수·송유의 5대손) 또 옛 제도에 따라 지붕을 얹고, 기둥과 주춧돌을 각각 그 자리에 놓고 화채(단청)를 더하였다”고 적었고, 1616년 정유재란이 끝난 후에는 완전히 폐허가 된 것을 다시 세웠다.

이미 그 시대에 단청은 국법에도 어긋나고, 사대부들의 성리학적 규범에도 어긋나는 것이었다. 그럼에도 동춘당은 여러 번의 보수와 개축을 하면서도 계속 단청을 입고 있는데, 이는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3년 동안은 아버지의 도를 고치지 않아야 효라 할 수 있다는 공자의 예를 따른 것이다. 청빈함이 사대부의 자존심으로 여겨지던 조선시대에 단청을 유지하는 것도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었을 것이고, 딴은, 그 불편을 다른 가문에 과시의 수단으로 삼았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나중에 송준길 송시열로 완성되는 조선 후기 기호예학의 단서를 이 집에서 보는 것 같다.

함성호 시인·건축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