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최예나]입학사정관, 정규직 넘어 전문직으로 키워야

  • Array
  • 입력 2011년 11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최예나 교육복지부 기자
최예나 교육복지부 기자
“입학사정관 정규직화를 위한 법안을 제출할 의향이 있으신가요?” “대부분 비정규직인 입학사정관의 처우 개선이 필요합니다.”

3월 10일 제주 라마다호텔에서 열린 ‘입학사정관제 사례발표 워크숍’. 60개 대학 입학사정관 480여 명은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과의 대화 시간에 이 같은 질문을 쏟아냈다. 이 장관은 “올해 우리가 집중할 부분이 입학사정관의 정규직화다. 예산 확보도 됐고 다양한 정책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답했다.

이 장관의 말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졌다. 입학사정관제의 법적 근거를 마련한 고등교육법 개정안이 2일 국회 법안심사소위에서 가결됐기 때문이다. 교육과학기술위와 법제사법위를 거쳐야 하지만 무리 없이 통과될 것으로 보인다.

개정안은 대학이 입학사정관을 교직원으로 채용할 수 있고 교과부 장관은 대학에 입학사정관의 채용, 운영을 권장하고 경비 일부를 지원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이에 따라 입학사정관을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대학이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입학사정관 대부분이 비정규직이라 입학사정관제의 정착을 가로막는다는 지적은 꾸준히 나왔다. 대학이 잠재력을 갖춘 학생을 선발하려면 자기소개서와 교사 추천서 등 포트폴리오를 오랜 시간 본 입학사정관이 필요하다. 그러나 정부 지원을 받는 대학의 입학사정관 558명 중 72.2%(403명)가 비정규직이다. A대 입학사정관은 “신분이 보장되지 않으니 보수를 좀 더 주겠다는 학교로 이리저리 옮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철새 입학사정관이 학생을 제대로 거를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런 상황에서 입학사정관의 전문성을 기대하기는 더 힘들다. 지난해 수도권 모 대학이 입학사정관 1명을 모집할 때 47명이 몰렸다. 대학 관계자는 “대부분 기간제 교사 출신이고,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을 수료한 경우는 한 명도 없었다”고 했다. 교과부는 3년간 12개 대학에 입학사정관 양성과정을 개설하고 41억3700만 원을 지원했다. 하지만 지난해까지 수료생 390명 중 17%(66명)만이 입학사정관으로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올해부터 입학사정관 자격증제를 도입하겠다고 지난해에 발표했다. 입학사정관 양성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자격증을 준다는 말인데, 지금까지 구체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았다. 개정안의 통과가 입학사정관의 신분 보장 및 전문성 제고로 이어져 입학사정관제 정착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좋은 학생을 뽑는 데는 좋은 눈이 필요하니까.

최예나 교육복지부 기자 yen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