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찬식 칼럼] 한류가 韓日 관계 바꾼 뒤

  • Array
  • 입력 2011년 3월 22일 20시 00분


코멘트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지난 주말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한국과 일본이 공동 제작한 연극 ‘야끼니꾸 드래곤’을 관람했다. 한국과 일본의 연극배우들이 함께 출연했고, 대사는 한국어와 일본어가 섞여 나왔다. 이런 식의 ‘교류 연극’은 관객이 별로 없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 연극은 달랐다. 객석에선 빈자리를 찾아볼 수 없었다. 연극이 끝난 뒤 관객들은 자리를 떠나지 않고 뜨거운 박수를 보냈다. 두 번째 커튼콜 때는 기립박수까지 이어졌다.

대지진 재앙 속에 나눈 훈훈한 情

재일교포 연극인 정의신 씨가 극본과 연출을 맡은 이 작품은 재일교포 가족의 어두운 삶을 다룬다. 아버지는 태평양전쟁에서 왼팔을 잃고 오사카 빈민촌에서 곱창구이 집 ‘야끼니꾸 호루몬’을 운영하며 어렵게 살아간다. 막내아들은 학교에서 따돌림을 당하다가 결국 자살의 길을 택한다. 역시 재일교포인 사위는 대학까지 졸업했지만 차별 때문에 취직을 못하고 방황한다. 이들의 생활 터전은 당국의 철거 방침에 따라 사라지고 가족은 뿔뿔이 흩어진다.

재일교포 문제는 일본 사회로서는 별로 드러내고 싶지 않은 주제일 것이다. 이런 연극이 한일 합작으로 무대에 올려지는 것은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다. 그럼에도 이 연극은 2008년 일본 유일의 국립극장인 도쿄 신국립극장에서 처음 공연됐을 때 ‘전석 매진’의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한국 공연도 성황을 이뤘다. 주최 측이 예상하지 못한 결과였다. 그동안 한국과 일본 사회가 상대방을 바라보는 정서에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는 증거가 아닐 수 없다.

1996년 동아일보와 일본 아사히신문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한국인의 65%는 ‘일본이 싫다’고 대답했다. 그로부터 불과 15년이 경과한 오늘날 한국 사회의 반응은 달라도 너무 다르다. 동일본 대지진 피해자를 돕자는 캠페인에 많은 한국인이 기꺼이 참여하고 있다. ‘고난에 처한 사람들에 대한 인류애’ ‘이웃 나라의 도리’ 등 보편적인 이유만으로는 잘 설명이 되지 않는 현상이다. 아픈 역사적 기억이 아직 우리에게 생생하기 때문이다.

지난 10여 년 동안 한일 관계에서 의미 있는 사건을 꼽는다면 1998년 한국의 일본 대중문화 개방 조치였다. 당초 일본의 퇴폐 문화가 유입되고 우리 문화 기반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높았으나 기우에 그쳤다. 반면에 일본 쪽에 한류를 확산시키는 의외의 결과를 초래했다. 대중문화 분야의 교류가 증가하면서 2003년 일본 NHK가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를 방영했다. 2004년과 2005년 일본에서 한류는 최고조에 달했다. 최근까지도 기세는 수그러들지 않는다.

‘독도 왜곡’으로 찬물 끼얹을 건가

우리 쪽에서는 일본에 대한 거부감이 완화됐다. 젊은 세대는 일본의 침략성에 분노해 왔지만 일본 대중문화를 접할 기회가 늘어나면서 점차 일본 문화에 호감을 갖게 됐다. 요즘 한국 학생의 일본 이미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일본 대중문화라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일본의 한류 열풍은 일본인의 생각을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한국인의 마음도 열게 했다. 한류 스타를 찾아오는 일본인을 보면서 한국인은 여러 느낌이 교차했다.

일본 정부는 1998년 이전부터 한국에 일본 대중문화의 개방 조치를 요구했다. 반일 감정을 낮추려는 외교 전략의 일환이었다. 당장은 효과가 없더라도 꾸준히 교류를 이어감으로써 미래를 기약하려고 했다. 최근 상황은 일본의 의도가 예상보다 빨리 실현된 결과라고 할 수 있지만 한국의 대중문화가 한일 관계를 크게 바꿔놓는 시나리오는 당초 존재하지 않았다. 돌이켜 보면 임진왜란 이후인 17, 18세기에도 조선통신사가 일본을 방문해 다양한 문화활동으로 평화적인 한일 관계를 유지하는 데 기여한 적이 있었다. 경위가 어찌 됐든 문화 교류는 전통적으로 선린 관계의 바탕이다. 대지진이라는 재앙을 계기로 두 나라의 공감대가 더 확대된 것은 반가운 일이다.

그러나 한일 관계가 낙관적인 것은 아니다. 당장 이달 말 발표될 일본 중학교 교과서의 검정 결과가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 문부성은 2008년 중학교 학습지도요령 해설서를 통해 ‘다케시마(독도)를 둘러싸고 주장에 차이가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학생들의 이해를 심화시키는 일이 필요하다’고 명기했다. 쉽게 말해 교과서 안에 ‘독도는 일본 땅’이라고 서술하라는 주문이다. 교과서 출판사들은 문부성의 검정을 통과해야 판매할 수 있으므로 이 내용을 포함시켰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일이 현실화되면 독도 문제를 놓고 다시 갈등이 불거질 것이다. 지진 피해자들을 진심으로 위로했던 한국인은 더 큰 배신감을 느낄 수도 있다. 일본 정부는 교과서 검정 발표를 미룰 필요가 있다. 이웃 국가를 배려하는 근린제국 조항을 적용해 교과서의 독도 관련 기술을 피하는 방식도 고려해야 한다. 어렵게 조성된 한일 관계의 새로운 물줄기를 막아서는 일이 벌어지지 않았으면 한다.

홍찬식 수석논설위원 chansik@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