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갈피 속의 오늘]1822년 南美독립영웅 2人회동

  • 입력 2008년 7월 26일 03시 01분


시몬 볼리바르와 호세 데 산마르틴. 스페인 식민지에서 태어나 식민통치에 맞서 라틴아메리카의 독립을 이끈 두 사람은 나란히 ‘위대한 해방자(리베라토르)’로 불린다.

부유한 크리오요(식민지 태생 백인)로서 ‘인디오도 아니요, 유럽인도 아닌 중간 존재’라는 울분 속에 떨쳐 일어난 볼리바르. 스페인군 장교 집안에서 태어나 스페인에 충성을 맹세한 군인이었지만 결국 태생적 한계를 느끼고 크리오요 혁명가들과 하나가 된 산마르틴.

불굴의 의지와 용맹, 천재적 군사전략을 발휘한 두 사람의 성격은 사뭇 달랐다. 볼리바르는 신경질적이고 마음이 급한 이상주의자였지만 산마르틴은 매사에 신중하고 인내를 미덕으로 여기는 현실주의자였다.

볼리바르는 카라카스(베네수엘라) 보고타(콜롬비아) 키토(에콰도르) 등 남미 북쪽에서, 산마르틴은 라플라타(아르헨티나) 산티아고(칠레) 등 남쪽에서 각각 해방전쟁을 이끌었다.

두 사람이 맞부딪친 곳은 페루. 리마에 입성해 페루의 독립을 선언하고 섭정이 된 산마르틴은 볼리바르가 먼저 점령한 항구도시 과야킬(에콰도르)을 편입하길 원했다.

1822년 7월 26일, 두 사람은 과야킬에서 처음이자 마지막 대면을 했다. 둘 사이에 무슨 얘기가 오고 갔을까. 두 사람만의 대좌였기에 여러 가지 추측만이 나올 뿐이다.

아마도 두 사람은 해방된 나라들의 장래 통치형태에 관해 의견이 엇갈렸을 것이다. 군주제에 마음이 끌렸던 산마르틴은 완강한 공화주의자 볼리바르를 설득할 수 없었는지 모른다.

두 지도자 간의 협력 문제도 있었다. 당시 44세로 다섯 살 연장자인 산마르틴은 볼리바르에 이어 자신은 2인자의 지위로 족하다고 제안했지만 볼리바르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을 것이다.

멕시코 작가 카를로스 푸엔테스는 ‘라틴아메리카의 역사’(원제 ‘묻혀진 거울’)에서 과감히 이렇게 썼다. ‘산마르틴은 볼리바르에게 “나는 내 과업을 완수했네. 뒤에 오는 영광은 다 자네 것일세. 나는 고향으로 돌아가겠네”라고 말했다.’

어쨌든 분명한 사실은 산마르틴이 회담 결과에 낙담해 서둘러 리마로 돌아갔다는 점이다. 산마르틴은 이후 프랑스로 망명해 자신이 해방시킨 땅에 다시 돌아가지 못한 채 72세의 나이로 생을 마감했다.

볼리바르는 해방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하지만 피비린내 나는 무질서 속에서 암살 위협에까지 직면한 그는 실의에 빠져 1830년 “아메리카는 이제 통치불능”이라고 한탄하며 세상을 떴다. 통합되고 강력한 국가를 꿈꿨던 두 사람의 꿈과 달리 남아메리카는 이후 분열의 길을 걸었다.

이철희 기자 klimt@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