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마당/함성철]예쁜 남성·강한 여성의 相生

  • 입력 2004년 12월 27일 18시 24분


코멘트
상생(相生)이라는 말은 오늘의 우리 정치 경제 사회를 논할 때 흔히 제기되는 화두다. ‘정치의 상생’, ‘상생의 노사관계’….

나는 또 다른 상생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다. 거창한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 일상생활에서 조용히 이뤄지고 있는 또 하나의 상생이 있다. 최근 필자가 근무하는 회사에서 마케팅 보고서를 하나 냈다. 최근 우리나라 젊은이들 사이에 번지고 있는 ‘예쁜 남자’와 ‘강한 여자’에 대한 것이다. 17세에서 39세까지의 성인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남자의 66.7%가, 여자의 57.3%가 의식적으로 혹은 행동으로 ‘예쁜 남자’ 혹은 ‘강한 여자’로 행동하고 있음이 확인됐다.

‘예쁜 남자’와 ‘강한 여자’는 우리나라 젊은이들의 반을 넘는 다수요, 그들의 외모와 패션, 취미와 문화, 연애와 결혼, 가정과 가족, 일과 직장 등 거의 모든 부문에서 발현되고 있는 폭넓은 현상인 것이다. ‘남자들이 꽃무늬와 같은 화려한 옷을 입고 화장을 하기 시작했다’ 혹은 ‘여자들이 사회에 적극 진출하고 운동을 열심히 한다’는 식의 단편적 시각 또는 ‘나와는 관련 없는 소수의 현상일 뿐’이라는 편견을 버리자는 얘기다.

도대체 왜 ‘예쁜 남자’와 ‘강한 여자’ 현상이 폭넓은 영역에서 나타나는 것일까. 스위스의 심리학자 카를 융은 모든 인간에게 양성(兩性)의 성격이 공존한다고 보고, 남성적이고 기능적인 ‘아니무스(Animus)’와 여성적이고 친화적인 ‘아니마(Anima)’가 균형을 이룰 때 개인과 사회의 원만한 발전이 이뤄진다고 주장한 바 있다. 또한 양성적 인간은 전통적인 성 역할에 갇혀 있는 이들보다 지능은 물론 창의력도 높고, 심리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대인관계가 원만하다는 연구 결과가 소개된 바도 있다. 서로 다른 성의 상생이 이뤄질 때보다 발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얘기다.

과거 대한민국 사회가 요구한 남성상은 힘세고 강인한 사나이 대장부였고, 여성상은 남편에게 순응하고 가정생활에 충실한 현모양처였다. 하지만 이런 이분법, 흑과 백의 논리는 아날로그 시대의 유물이다. 멀티태스킹으로 특징지어지는 디지털 시대에선 다분법의 논리, 다양성의 논리가 요구되고, 그것이 경쟁력으로 인정받는 시대다.

최근의 양성형 인간은 자신의 성이 지닌 강점 위에 이성의 강점을 접목시키려는 젊은이들 스스로의 변화이자 노력의 결과로 이해하고 싶다. 그렇게 해서 2004년 대한민국엔 또 하나의 상생, 즉 성 정체성과 성 가치관에서의 상생이 조용히 이뤄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런 상생이 발전적 대세로 이어질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의문의 여지가 있다. 남성사회의 패러다임 속에 있는 우리의 기성세대들이 여성성을 껴안으려는 ‘예쁜 남자’들을, 남성성을 껴안으려는 ‘강한 여성’들을 과연 얼마나 따뜻하게 껴안을 수 있을 것인지 말이다.

젊은이들이 추구하는 성의 상생이 바람직한 것일진대, 우리 사회는 좀더 적극적으로 이를 수용하고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승화시킬 필요가 있지 않을까.

함성철 제일기획 AP1팀 차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