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칼럼]맹성렬/생명과 맞바꾼 쇄빙선

  • 입력 2003년 12월 11일 18시 29분


코멘트
맹성렬
‘한 젊은 연구원의 목숨과 맞바꾼 쇄빙선.’

12월 8일 남극 세종기지 연구소에서 일어난 안타까운 사고 소식과 이후 정부의 사태 수습 과정을 지켜보며 불현듯 이런 생각이 들었다. 젊디젊은 전재규 연구원이 혹한의 남극에서 조난사한 이번 사건은 모처럼 현장에서 일하는 연구개발자들의 현주소를 되돌아보게 했기 때문이다.

사고 이후 들려오는 소식들에 따르면 한국의 세종기지는 주변 다른 나라 기지들에 비해 시설이 가장 열악했다고 한다. 보다 나은 설비와 재난구호책이 있었더라면 상황은 달랐을 수 있을 것이다.

사후약방문 격이지만 정부는 이제야 극지 연구에 매우 중요한 쇄빙선(碎氷船)을 ‘우선 확보’하겠다고 한다. 그나마 다행스럽긴 하지만 우리 과학자들이 그 꽃다운 생명을 내놓고서야 연구에 긴요한 장비들을 얻을 수 있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이다.

외국과 비교할 필요도 없이 한국 이공계의 현실은 대단히 열악하다. 지난 몇 년간 정부 차원에서 연구개발비는 상당히 올려줬지만 정작 연구 개발에 종사할 인력의 안전이나 생계 보장에는 여전히 무신경하다. 자본과 시설에 투자하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할 뿐 연구 개발 성과가 인재로부터 나온다는 사실을 모르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가 이공계 공동화(空洞化) 문제를 해결한다고 이런저런 방안을 내놓는데도 현장의 반응이 냉소적인 이유 역시 위정자들이 기본적으로 인재를 경시한다는 것을 알기 때문 아닐까.

이번 세종기지 사고도 근본적으로 이런 인재 경시 풍토에서 생겨났다는 생각이다. 무엇보다도 전재규 연구원이 대학원 재학 중 계약직 연구원으로 남극기지에 간 이유 중의 하나가 생활고 때문이었다는 사실을 지적하고 싶다. 연구원들이 산재보험을 제외하고는 보험에 전혀 들어있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극지 등 위험지역 근무자’는 일반보험에 가입할 수조차 없었기 때문이라는 설명 앞에서는 기가 막힐 따름이다.

우리나라를 이끌어갈 힘은 정쟁에 골몰하는 정치나 소비산업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가장 힘들고 춥고 먼 곳에서 한국의 ‘파이’를 키워 나가는 이들이 대접받지 못한다면 한국의 미래는 어디서 찾아야 하는 걸까.

맹성렬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선임연구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