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 동아]이유없이 얼굴 살이 빠진다면… 콜라겐 부족일수도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12월 6일 03시 00분


코멘트

건강상식 콜라겐 단백질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는 피부 속 콜라겐과동일한 구조로 24시간내에 피부, 뼈, 연골 등에 흡수된다.게티이미지뱅크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는 피부 속 콜라겐과동일한 구조로 24시간내에 피부, 뼈, 연골 등
에 흡수된다.게티이미지뱅크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감소하고 살이 빠져 초라해 보이는 것을 신경 쓰는 이들이 적지 않다. 피부 탄력이 떨어지는 40대 이상 중년 여성이라면 급격히 빠진 얼굴 살 때문에 매일 아침 거울을 보는 것도 싫어진다. 피부는 생기를 잃고 주름이 깊어져 실제 나이보다 더 늙어 보인다. 갑자기 눈에 띄게 얼굴 살이 홀쭉해졌다면 몸속 콜라겐 양을 점검해봐야 할 때다.



30대부터 본격적으로 노화 진행


20대엔 특별히 관리하지 않아도 피부에 윤기가 돌고 탄력이 넘쳤다. 하지만 나이가 들수록 기능성 제품을 바르고 수분을 충분히 보충해줘도 피부는 푸석해지고 화장은 들뜨기 일쑤다. 자신도 모르는 사이 잔주름이 늘어나고 옅은 주름의 골도 나날이 깊어진다. 고민되는 부위에 영양크림을 듬뿍 발라보지만 겉에서 맴돌 뿐 피부 상태가 바뀌지는 않는다.

탄력 있는 피부를 만들려면 피부 표피부터 근육까지 전체를 구성하는 피부 속 구조를 재건해야 한다. 피부 세포 재생이 느리거나 피부 속 콜라겐 양이 줄면 피부가 처지고 볼륨이 사라진다. 나이가 들면서 얼굴 살이 처지고 얼굴선이 울퉁불퉁해지는 것은 피부의 지방 세포와 근육을 지지하는 탄력 구조가 무너지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황까지 오면 피부를 원상복구하기가 쉽지 않아 피부 탄력이 건강하게 유지되는 20대 때부터 관리를 시작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콜라겐, 근육량 증가에 영향


몸속 근육의 감소는 골절 위험을 높인다. 근육량이 부족해지면서 기초대사량이 줄어들게 되고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덜 사용함으로써 당뇨, 비만 등의 질병이 발생될 위험도 높아진다.

근육 감소를 치료할 수 있는 약은 현재 없다. 따라서 평소 근육량이 줄어들지 않도록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문가들은 노화가 진행되면서 피부 탄력이 사라지고 기력이 예전 같지 않다면 콜라겐 단백질을 보충해주는 것이 좋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2015년 영국 영양학저널에 발표된 ‘콜라겐 섭취와 근감소증’ 연구에 따르면 콜라겐이 초기 근감소증을 앓고 있는 남성들의 근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초기 근감소증을 앓고 있는 70대 이상의 남성 53명을 대상으로 콜라겐 단백질을 섭취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을 나눠 근력 향상을 비교했다. 그 결과 콜라겐 단백질을 섭취한 그룹은 콜라겐 단백질을 먹지 않은 그룹보다 근력이 16.12Nm(근력의 강도) 향상됐다. 뼈 질량에서도 유의적인 증가 효과를 보였다. 특히 체중과 체지방 질량 차이에 있어서 단순 치료에서는 평균 2.90kg이었으나 15g 콜라겐 섭취를 한 집단에서는 4.22kg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피부 속 콜라겐 양을 관리해야


콜라겐은 피부 속에서 세포와 세포가 서로 지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단백질이다. 콜라겐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피부, 뼈, 관절, 머리카락 등 체내 전체 단백질 함유량의 3분의 1을 차지한다. 피부 진피층의 90% 정도를 차지하는 콜라겐은 피부의 형태를 유지하고 피부 조직을 단단하게 만든다. 피부 속 진피층의 탄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도 콜라겐이다. 20대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해 관리하고 있는데도 피부가 처지고 주름이 생기는 원인은 몸속 콜라겐이 감소해서다.

20대를 기준으로 콜라겐 함유량은 매년 1%씩 감소하기 시작한다. 40대가 되면 20대 수준의 절반 정도 양만 남게 된다. 화장품을 발라도 피부 깊숙한 곳까지 유효 성분이 전달되는 데 한계가 있다.

바르기보다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


흔히 피부에 주름이 생기거나 탄력이 떨어졌다고 느끼면 화장품에 관심이 생기기 마련이다. 하지만 방어기전을 가지고 있는 피부는 이물질이 피부에 닿았을 때 몸속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부로 흡수되는 콜라겐에는 한계가 있다. 피부 탄력을 책임지는 자가 콜라겐 합성 능력이 떨어져 피부 속 탄력이 점점 줄어들게 된다.

20대 때처럼 화장품만 바르는 것으로는 탱탱한 피부를 유지하기 쉽지 않다. 진피층에서 스스로 콜라겐 형성이 어려운 40대 이상 여성은 콜라겐 보충이 필요하다.

흔히 콜라겐은 돼지껍데기나 족발, 닭발 등에 많이 들어있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돼지껍데기나 족발 같은 식품을 섭취하는 정도로는 피부 탄력이나 근력 향상 등에 효과를 보기는 어렵다고 말한다. 매일 이런 식품으로 일정량 섭취하는 것도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섭취하더라도 일반적인 단백질보다 분자가 커서 위장에서 분해되고 피부와 근육까지 도달하기가 힘들다. 일반적으로 90%는 흡수되지 않고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다.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


콜라겐은 어류에서 유래하는 저분자 콜라겐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피부와 근육에 효과적으로 콜라겐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3개로 구성된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저분자 콜라겐)’의 형태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저분자 콜라겐 펩타이드는 피부 속 콜라겐과 동일한 구조로 24시간 내에 피부, 뼈, 연골 등에 흡수된다. 체내에 흡수되면 12시간 내에 90% 이상이 흡수되고 피부에 14일, 혈장에 96시간 동안 남아 있어 체내 구석구석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시킨다.

뉴트리(Newtree)에서 출시된 ‘에버콜라겐 인&업’은 저분자 콜라겐 성분을 15% 이상 함유했다. 에버콜라겐 인&업에 함유된 저분자 콜라겐은 머리카락 굵기 1만분의 1 크기로 피부 속 콜라겐과 동일 구조를 가지고 있어 피부 속까지 콜라겐을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홍은심 기자 hongeunsim@donga.com
#뉴트리#콜라겐#펩타이드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