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테마 에세이]스승<2>백영옥

  • 입력 2009년 5월 8일 02시 56분


나를 키운 소설들

아주 오래전, 배우 송강호의 인터뷰에서 이런 구절을 읽은 기억이 있다.

내 연기의 스승은 동네 형들이었다!

그의 연기를 처음 본 것이 ‘초록 물고기’였는데, 그는 누군가를 폭행하는 엄청나게 많은 조폭 중 한 명이었다. 문득 그의 악랄한 연기를 보고 들었던 생각은 ‘앗, 진짜 조폭 섭외한 거 아냐?’란 생각이었는데, 사실 이후 승승장구하던 송강호의 연기 이력이야 말할 것도 없겠다. 사실 나는 이런 인터뷰들이 꽤 신선하게 느껴진다. 이를테면 영화감독 류승완이 자신의 스승을 ‘청룽(成龍)’이라고 말하거나 ‘내가 정말 알아야 할 모든 것은 유치원에서 배웠다’ 같은 책의 제목이 주는 의외성 때문이다.

파울루 코엘류의 에세이 ‘흐르는 강물처럼’에는 작가의 정의에 대한 이런 말들이 나온다.

작가는 늘 심오한 말만하며, 최근에 나온 자기 책을 몹시도 혐오하고, 언제나 사람들은 듣도 보도 못한 책들을 읽고 있으며, 작가와 그 동료들에게 한결같은 감동을 안겨주는 책은 세상에 단 한 권뿐인데, 그것이 바로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다. 하지만 책 내용을 물으면 그걸 읽었나 의심이 들 정도로 횡설수설한다.

자조적으로 들리는 이 얘길 장황하게 하는 이유는 내 스승 역시 ‘책’이기 때문이다.

소설가가 자신의 스승을 소설가 내지는 소설이라고 말하는 건 마치 ‘미스코리아 진’이 미용실 원장님에게 왕관의 영광을 돌리는 것만큼이나 참 따분한 일이지만 그래도 사실인 걸 어쩐단 말인가.

이를테면 나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 몽고메리 여사의 소설책과 신일숙 황미나의 만화들, 시드니 셸던과 마이클 크라이턴, 스티븐 킹의 소설에서 연애와 인생을 배웠다. 꽤 조숙한 어린이였던 탓에 초등학교 2학년 때 모파상의 ‘여자의 일생’을 읽었고, 5학년 때 ‘데미안’을 읽었다. 사실 데미안의 ‘아프락사스’, 즉 알을 깨고 나오는 인간의 성장통에 관한 메타포는 그 시절의 내겐 “엄마! 삶은 달걀이 먹고 싶어”쯤으로 변환되긴 했지만, 이들 책이 내 인생에 파장을 몰고 온 것만은 사실이다. 카뮈를 읽어야 꼭 인생의 부조리를 아는 건 아니다. 니체를 읽어야 신과 인간의 자유의지에 대해 고민하는 건 아니다. 그렇지만 실연 후, 혹은 지독한 실패의 잔흔에 패잔병처럼 넋 놓고 있을 때, 소설은 늘 내게 지금 일어난 일의 의미에 대해 다양한 질문을 던질 수 있는 힘을 주었다. 그러니 말할밖에. 그들 모두가 하나인 동시에 여럿인, 내 선생님이었음을.

소설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