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주말시대]전남 곡성驛 레일자전거

  • 입력 2004년 3월 25일 16시 26분


코멘트
구 곡성역사 안의 철로에서는 레일자전거를 탈 수 있다. 가족끼리, 연인끼리 힘을 합해 미끄러지듯 철로 위를 달리는 기분이란…. 10월까지 무료로 운행된다.

구 곡성역사 안의 철로에서는 레일자전거를 탈 수 있다. 가족끼리, 연인끼리 힘을 합해 미끄러지듯 철로 위를 달리는 기분이란…. 10월까지 무료로 운행된다.

《전남 곡성은 때 묻지 않은 관광자원이 많은 곳이다. 옛 농촌 풍경이 고스란히 살아있는 데다 섬진강 자락을 따라 인근에 화엄사 쌍계사 등의 고찰과 화개장터, 소설 ‘토지’의 무대였던 평사리 등 푸근한 정을 느낄 수 있는 천연 관광지들이 즐비하다.

그중에서도 1999년 전라선 철도 개량공사로 쓸모없게 된 폐 철로와 폐 역사를 활용한 미니기차와 레일 자전거 체험관광이 눈길을 끈다.

당시 곡성역에서 압록역 사이의 철로가 직선화되면서 섬진강을 따라 구불구불하게 이어지던 구 철로는 폐지됐다. 이에 따라 신 곡성역이 생기고 구 곡성역은 문을 닫아야 했다.

그러나 곡성군에서는 이를 철거하지 않고 구 곡성역에서 압록역 전에 있는 가정 간이역까지 추억의 열차를 운행 중이다. 기차는 달랑 한 칸만 움직이는 초소형 미니열차다. 따라서 기관실도 개방되어 있다. 유리창문도 없다. 커튼 기능을 하는 투명한 비닐커버가 붙어있고 이를 걷어 올리면 오픈기차가 된다.》

○ ‘태극기 휘날리며’ 찍은 간이역

고즈넉한 구 곡성역사. 영화 '태극기를 휘날리며'의 피난길 대구역 장면을 여기서 찍었다.

13Km에 이르는 이 구간은 섬진강 줄기와 철도, 국도(17호)가 나란히 달리고 있어 전라선 구간 중 풍광이 가장 좋은 곳으로 꼽힌다. 일반 기차로 가면 10분도 안 되는 거리지만 시속 20km 이내로 달려 왕복 1시간 정도 걸린다. 차창 밖 풍경을 천천히 음미할 수 있다. 첫 역인 구 곡성역에 들어서면 수십년 전의 과거로 돌아간다. 현대시설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정겨운 시골마을과 어우러진, 이 아담한 간이역은 뭔지 모를 정겨움을 안겨준다.

이곳은 최근 상영 중인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의 촬영무대가 되기도 했다. 6·25전쟁으로 갑작스럽게 피란길에 오르게 된 진태(장동건)와 영신(이은주)의 가족. 그러나 피란열차를 타기 위해 도착한 대구역사에서 진태와 진석(원빈)이 강제 징집돼 군용열차에 오르면서 가족, 사랑하는 연인과 기약 없는 이별을 하는 장면이다.

영화에서 이곳은 이별과 슬픔, 분노가 공존하는 아수라장으로 묘사됐지만 실제 모습은 평화롭기 그지없다. 시골 간이역이 주는 썰렁함도 전혀 없다. 개찰구를 지나 안으로 들어서면 증기기관차부터 최신형 초고속열차까지 기차의 변천사를 나타내주는 조각물이 눈에 띈다. 그 옆에는 초가지붕 원두막 형태의 쉼터도 마련돼 있다. 볼수록 아기자기하다.

○ 느릿느릿 미니열차

구 곡성역에서 가까운 대웅전 처마 밑, 목련은 꽃피울 채비를 끝냈다.

미니열차가 천천히 출발한다. 섬진강을 끼고 산모롱이를 돌 때마다 한적한 전원 풍경이 두루마리처럼 펼쳐진다. 소리 없이 흐르는 섬진강 물줄기와 넓게 펼쳐진 논밭, 그 사이사이로 허리를 숙인 채 분주히 손놀림을 하고 있는 아낙네들…. 그 평화로운 모습에서 눈을 뗄 수가 없다. 비닐 커튼 틈새로 슬며시 들어오는 봄바람마저 포근한 느낌이다.

곡성역에서 남쪽으로 3km 지점에 있는 호곡리에는 호젓한 호곡나루가 서있고 조금 더 가면 빨간 교각에 출렁거리는 깔판을 깔아 한눈에 띄는 두가현수교가 있다. 밤에는 교각 아래 오색 조명등이 불을 밝혀 연인들의 데이트 장소로도 금상첨화.

가정역에 도착하면 기차에서 내려 남쪽으로 조금 더 걸어 내려가 보자. 압록마을 압록유원지에는 3만여평의 넓은 백사장이 독특한 멋을 자아낸다. 잔잔한 섬진강을 맛볼 수 있는 대표적인 쉼터 중의 하나다.

○ 덜커덩 덜커덩 “야호∼”

미니열차와는 별도로 구 곡성역사에서는 철로 위에서 자전거를 타는 이색체험도 할 수 있다. 자전거 바퀴와 철로를 맞물리게 해놓았기 때문에 자전거를 못타는 사람도 페달만 밟으면 쉽게 탈 수 있다. 미니열차가 달리는 철로를 제외한 나머지 철로를 이용하며 역사 내 300m 구간에서 왕복할 수 있다.

자전거는 연인이나 가족이 탈수 있는 2인용, 4인용도 있다. 흔히 2인용 자전거는 앞뒤로 앉아 타지만 이곳에서는 옆으로 나란히 앉아 마주보며 대화를 나누며 탄다. 처음에는 자전거가 무거워 힘을 많이 주어야 하지만 탄력을 받으면 혼자 타도 잘 굴러간다. 페달을 밟으면 철로 위에서 덜커덩거리는 소리가 기차 소리와 비슷해 마치 기관사가 된 듯한 느낌이다.

레일자전거를 타고 미니열차처럼 섬진강 자락을 달리면 좋으련만 역사 안에서만 탈 수 있다는 점이 좀 아쉽다. 안전사고 예방때문이라고 한다.

미니열차는 주말과 공휴일에 하루 4차례 운행되며 단체 관광객이 요청하면 수시로 운행한다. 미니열차와 레일자전거는 관광 홍보를 위해 10월까지 무료로 운행된다.

글=최미선 여행플래너 tigerlion007@hanmail.net

사진=신석교 프리랜서 사진작가 rainstorm4953@hanmail.net

▼1박2일 떠나볼까▼

1.곡성 도착→미니열차와 레일자전거 체험(무료)

2.압록 유원지 탐방→숙박

3.아침 태안사 산책(입장료 1500원)→섬진강 도로 따라 드라이브→산수유꽃 활짝 핀 구례 산동마을 방문→귀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