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비스의 ‘모범생’ 양동근(34)은 ‘문제 선수’ 전준범(24)과 나란히 인터뷰 요청을 받은 이유를 처음에는 몰랐다. 2004년 모비스 유니폼을 입은 뒤 유재학 감독 밑에서 11년째 뛰고 있는 양동근은 유 감독이 원하는 움직임을 누구보다 잘 안다. 유 감독 역시 ‘최고의 선수’로 주저 없이 양동근을 꼽는다. 하지만 그 역시 전준범 못지않게 유 감독에게 혼쭐이 나던 시절이 있었다. “경기 운영을 혹독하게 배웠죠. 어렸지만 포인트 가드로서 ‘형, 올라와. 저기로 가’ 이렇게 말할 정도가 돼야 한다고 하셨어요.”

지난해 12월 17일 SK전에서 전준범은 3점 차로 앞선 경기 종료 2초 전 2점 슛을 시도하던 헤인즈에게 반칙을 해 추가 자유투까지 내줬다. 다행히 헤인즈가 자유투를 실패해 한 점 차 승리는 지켜냈지만 유 감독은 경기가 끝난 뒤 손으로 하트 모양을 만든 전준범을 한 대 때릴 듯이 매섭게 째려봤다. 정확히 1년 뒤 운명의 장난처럼 전준범은 삼성과의 경기에서 72-71로 앞선 종료 직전 반칙으로 자유투를 내줘 팀에 패배를 안겼다. 하지만 유 감독은 1년 전처럼 화를 내지 않았다. 지난해 후보 선수로 뛰며 평균 4점대 득점에 그쳤던 전준범은 이번 시즌에는 주전으로 나서 평균 10.3득점을 터뜨리고 있다.
“작년엔 솔직히 말도 안 되는 반칙을 해서 많이 혼난 것 같아요. 이번에는 제가 따라가려다 (반칙을) 한 거라….” 전준범이 말끝을 흐리자 양동근이 “누구나 그 상황이면 할 수 있는 반칙이었다?”라며 거들어줬다. 전준범은 “제가 좀 더 영리하게 했으면 안 했을 수 있는 반칙이었죠”라며 꼬리를 내린다. 양동근은 “너무 붙어 있긴 했어요. 다음 상황까지 생각을 못 했던 거죠. 그런 게 경험이라 생각해요. 다음에는 같은 상황에서 다르게 대처할 거예요”라며 후배를 토닥여 주기도 했다.
그런데 작년 그 ‘싸늘한’ 상황에서 전준범은 왜 하트를 날렸을까. “전 진짜 안 했어요. 경기 끝나면 머리 위로 박수를 치거든요. (양손을 머리 위로 내려놓으며) 이렇게 했나?” 전준범은 결백을 호소했다. 양동근도 “준범이가 아무리 생각이 없어도 그 상황에서 하트를 날렸겠어요”라며 맞장구를 치다 “너도 모르게 한 것 아니냐, 파울처럼?”이라며 전준범의 약을 올렸다.
데뷔 3년 차에 주전으로 30분 이상씩 뛰긴 올 시즌이 처음인 전준범은 아직 혼란스러운 게 많다. “(함)지훈이나 저는 오래돼서 알잖아요. ‘아, 이건 아닌데 준범아 조심해야 할 타이밍이야’ 이런 싸∼한 느낌이 있죠.(웃음)” 양동근의 말에 전준범은 “아직은 느낌이 올 때가 있고 안 올 때가 있다”며 “빨리 정신을 차려야 한다”고 했다. 양동근은 “그래도 준범이가 밉상은 아니에요. 한 번씩 주먹을 부르지만 참을 만한 정도?”라며 미운 오리 전준범의 날갯짓을 응원했다.
한편 모비스는 이날 안양에서 열린 KGC와의 방문경기에서 89-66으로 승리해 선두를 질주했다. 오리온은 삼성을 97-69로 꺾었다.
용인=임보미 기자 bom@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