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호 칼럼]한국정치의 빈 자리 누가 메울까

  • 입력 2008년 4월 14일 19시 35분


총선 이후 한국 정치에 빈 공간이 생겼다. 3김 시대가 사실상 막을 내린 데 이어 여야(與野) 중진에 계파 실세들까지 줄줄이 고배를 마신 탓이다. 그 공백을 누가 메울 것인가. 권력은 한순간도 진공 상태를 허용하지 않는 법이어서 누군가가 곧 그 자리에 들어설 것이다.

5년 단임제는 우리 정치에 뚜렷한 특징 하나를 추가했다. 대선이 끝나는 순간 곧바로 차기 레이스가 시작되는 점이 그렇다. 한국 정치가 역동적이어서 그런지, 타고난 조급증 때문인지 모르겠으나 로또 복권이 꽝이 되자 즉석에서 새 복권을 사는 모습과 많이 닮았다.

벌써 거명되는 주자군(群)만 십수 명에 이른다. 한나라당만 해도 강재섭 박근혜 정몽준 홍준표 원희룡 의원 등이 꼽히고, 민주당은 손학규 정세균 추미애 박상천 천정배 김효석 김부겸 박주선 송영길 의원, 강금실 전 법무장관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이들이 저마다 정치적 체급을 올려가는 모습을 보는 것은 흥미롭다. 정치는 야구와 달리 엔트리가 무제한이어서 한층 극적이다. 권외(圈外)의 인물도 언제든지 한 방을 날릴 수 있다. 그래서 정치를 우리 사회의 공적 오락(public entertainment)이라고 하는 건가.

이들 중 누가 빈 자리를 메워도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 다만, 가능하면 소통하고 타협할 수 있는 인물이었으면 좋겠다. 달라진 정치지형과 시대(時代)가 그런 사람을 절실히 원해서다. 총선 이후 각계에서 쏟아진 정치발전을 위한 제안 중에도 ‘소통과 타협’에 관한 주문이 대다수다.

‘오너 政黨’ 시대 막 내려

이번 총선을 끝으로 한국 정당정치는 오너(owner) 시대의 종언을 고했다. 한 개인에 의한 정치의 사유화(私有化)가 더는 가능하지 않게 됐다. 그렇다고 지배적 대주주가 있는 것도 아니다. 있다면 ‘대표’라는 이름의 전문경영인이 있을 뿐이다. 이는 어느 한 세력에 의한 독주가 어려워졌음을 뜻한다. 같은 당 안에서도 대화와 타협에 기댈 수밖에 없게 됐다.

총선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양당(兩黨)체제가 느슨한 형태의 다당(多黨)체제로 바뀜으로써 대화와 타협의 중요성이 그만큼 커졌다. 한나라당이 153석을 얻어 간신히 과반을 넘긴 것도 안정적인 국정운영의 여건은 마련해줄테니 다른 당들과 항상 대화하고 타협하라는 민의(民意)의 표출이다.

진보를 표방하는 한 일간지는 총선 결과로 인한 우리 사회의 급속한 우경화에 대해 우려했다. 한나라당, 자유선진당, 친박연대, 친여 무소속 등 보수 세력이 3분의 2가 넘는 200여 석의 의석을 갖게 돼 좌파가 설자리가 좁아졌다는 것이다. 일리 있는 지적이다. 보수의 관점에서 보면 ‘자유와 시장’이라는 기본가치의 저변이 확충돼 정책 수립과 추진에 힘을 받게 됐지만, 반(反)보수 비(非)보수의 입장에선 거대한 벽(壁) 앞에 마주선 느낌일 것이다.

그러나 일각의 염려처럼 보수권력의 독주에 시민단체가 직접 맞서는 상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다. 역사가 보여주듯 외부의 적(敵)이 강할 때는 안으로 뭉치지만 지금처럼 적이 지리멸렬하면 내부 투쟁에 골몰하기 마련이다. 그렇더라도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대화하고 소통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을 비롯한 이 정부 사람들은 물론 미래의 큰 꿈을 꾸는 잠룡들도 마땅히 그래야 한다.

따지고 보면 소통과 타협은 정치의 가장 보편적인 기술이자 만국 공통의 정치문법이다. 디지털시대의 표현을 빌리면 소프트웨어이고 정치학적으로 말하면 성숙한 민주주의다. 이것이 우리에겐 아직도 야합(野合)의 동의어인 양 쓰이는 것은 유교적 명분주의의 전통에다 민주화투쟁 과정에서의 선명성 경쟁이 심했던 탓이다. 1970년대 중반 일부 야당 정치인들이 추진했던 중도통합론이 ‘사쿠라’로 몰린 아픈 기억도 작용하고 있다.

소통과 타협의 새 시대 열어야

그러나 이제는 생각을 바꿔야 한다. 대화와 타협 없이는 정치 선진화의 길로 나아갈 수 없다.

그동안 우리 정치의 제도적 하드웨어는 크게 발전했다. 독재 대 반독재의 낡은 축이 철거됐고, 선거라는 절차적 민주주의도 뿌리를 내렸다. 그럼에도 하드웨어 곳곳을 누비면서 정치에 생명을 불어넣어줘야 할 소통과 타협의 소프트웨어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고 있다.

3김 시대도 가고, 민주화 20년의 깃발도 내려진 지금, 한국 정치의 빈 공간을 메우고자 하는 사람들은 바로 이 점에 주목해야 한다. 시대의 변화를 읽지 못하는 사람에게 정치적 미래는 없다.

이재호 논설실장 leejaeho @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