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침 건강]변비 고통땐 서암뜸치료 손가락자극

  • 입력 1998년 12월 10일 19시 20분


▼변비 처방

변비는 내장이 너무 건조하거나 열이 있어 생긴다. 변비의 원인은 운동부족 원기부족 식이성 신경성 내장성 등으로 다양하다. 또 음식으로 흰 쌀밥을 많이 먹으면 장이 건조해지고 열이 생겨 변비에 잘 걸린다. 요즘 변비 환자가 많은 이유는 흰 쌀밥을 많이 먹기 때문. 그러므로 섬유질 많은 식품, 특히 보리밥과 콩밥을 많이 먹으면 변비 해소에 도움이 된다.

변비를 치료하지 않으면 다른 질병에 걸릴 수 있다. 즉, 복만증(腹滿症) 소화불량 요통 척추추간판탈출증 두통 신경과민 등에 잘 걸린다. 변비에 걸리지 않기 위해선 일정한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를 빨리 해소하며 원기를 회복해야 한다.

원기를 보충하는 데 가장 빠른 방법은 서암뜸으로 A1 A3 A6 A8 A12 A16 E22에 뜸을 뜨는 것이다. 하루 1∼2회, 1회에 2∼3장을 꾸준히 떠주면 변비해소에 도움이 된다.

수지침으로 고치려면 E8 A30 D2 D3 C9 C11 E22 A3 A8 A12에 수지침과 서암침을 찌르거나 유색서암봉을 붙여준다. 이 처방을 하면 장의 운동을 촉진시키고 장벽에 분비물을 생기게 하며 복압(腹壓)을 강화시켜 변을 잘 나오게 할 수 있다. 변이 너무 건조한 경우 K8 E42 A3을 추가하고 약간 강자극을 주면 좋다. 강자극이란 지압이나 수지침으로 아픈 자극을 주거나 서암봉2호 유색봉으로 오래 붙여 두는 것을 말한다.

변비처방은 양손 모두에 자극을 주되 가벼운 경우는 셋째 넷째 다섯째 손가락에만 자극을 주고 첫째 둘째 손가락은 생략해도 좋다. 그러나 변비가 심할 경우 첫째 둘째 손가락도 함께 자극한다.

변비에 걸렸을 때는 근본을 다스려야 한다. 특히 노인은 운동부족과 건조증, 영양불균형이 심해 변비에 걸리는 경우가 많다. 이 때는 부족한 영양을 집중 보충하면 변비가 잘 해소된다. 02―233―5144,547―4456

유태우(고려수지침요법학회 회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