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 투 더 동아/7월 15일]‘장마만 빼면…’ 발상의 전환으로 탄생한 잠수교 개통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7월 15일 03시 00분


코멘트
잠수교는 비가 많이 내리면 물에 잠겨 통제된다. 이달 초 수도권 집중호우로 전면 통제된 잠수교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청소 작업을 벌이는 모습.  동아일보 DB
잠수교는 비가 많이 내리면 물에 잠겨 통제된다. 이달 초 수도권 집중호우로 전면 통제된 잠수교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청소 작업을 벌이는 모습. 동아일보 DB
‘잠수교는 평상시 수면 2m가량 위에 걸린 듯한 댐형 다리로 우리나라에선 처음으로 2층을 가설할 수 있게 했으며 다리 중간 15m를 필요할 때마다 크레인으로 들어올려 위대형선박들이 지나가게 함으로써 서울의 새 명물로 등장했고 비상시 안보적인 역할도 할 수 있는 특수한 다리다.’(동아일보 1976년 7월15일자)

잠수교는 이날 개통됐다. 그때껏 건설된 한강 다리의 높이가 수면 위 16~20ms였던 데 비해 잠수교의 높이는 수면 위 2.7m 정도였다. 당연히 비가 많이 내리면 다리가 물에 잠기는 구조였다. ‘잠수(潛水)’라는 이름도 여기에서 나왔다. 목영만 전 국정원 기조실장의 저서 ‘신뢰의 발견’에 따르면 홍수 수위 이상으로 다리를 지어야 한다는 통념을 뒤집은, 1년에 장마기간 10~20일 빼곤 내내 다리를 건널 수 있다는 발상의 전환이 잠수교 건설의 바탕이 됐다.
잠수교 개통 소식을 알린 동아일보 1976년 7월15일자 7면.
잠수교 개통 소식을 알린 동아일보 1976년 7월15일자 7면.

기사에는 잠수교의 다른 이름이 나온다. ‘안보교’다. 교각이 짧아 폭격을 받아도 상판을 빨리 다시 깔 수 있도록 한 설계 때문이다. 복층으로 지어져 위에 놓인 반포대교에 가려 항공 촬영을 해도 보이지 않고 폭격을 피할 수 있는 것도 ‘안보교’로서의 기능 중 하나다. 2층격인 반포대교는 6년 뒤인 1982년 6월 개통됐다.

김지영 기자 kimj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