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테러 경계]페르시아灣 국내선박 9척 ‘하선 자제령’

  • 입력 2004년 7월 11일 18시 58분


코멘트
한국 선박에 대한 테러 위협이 전해지면서 10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해양수산부 상황실에서 담당 직원들이 중동지역에서 운항 중인 한국 선박의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박영대기자
한국 선박에 대한 테러 위협이 전해지면서 10일 서울 서대문구 충정로 해양수산부 상황실에서 담당 직원들이 중동지역에서 운항 중인 한국 선박의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박영대기자
이라크의 테러단체가 한국 선박을 공격할 것이라는 첩보와 관련해 정부는 페르시아만에 정박 중인 국내 해운회사 선박에 대해 ‘하선 자제령’을 내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하지만 군함이 호위하거나 선박을 무장시키는 것 외에 테러를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는 것으로 나타나 해운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11일 페르시아만에 정박 또는 운항 중인 한국 선박 9척에 경계근무를 강화하고 선원들의 하선을 자제해 줄 것을 해운업계에 지시했다고 밝혔다.

또 외교통상부에 △중동지역 주재국 공관을 통해 동향을 파악하고 △한국 선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주재국과 협조 채널을 마련해 줄 것을 요청했다.

이와 함께 해당 주재국 공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7, 8월 중동지역 선박 운항 일정을 외교부에 통보할 예정이다.

정상호(鄭象虎) 해양부 해운물류국장은 “테러 위협이 구체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모든 가능성에 대비하기로 했다”며 “첩보 단계이기 때문에 중동지역을 운항하는 에너지 운반선에 대한 운항 중단 등의 조치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다.

해양부 대(對)테러 종합상황실에 따르면 이날 현재 현대상선과 LG칼텍스, SK해운, 범양상선 등 4개사의 선박 5척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예멘 등 4개국 항만에 정박 중이며 4척은 페르시아만을 항해하고 있다.

정박 중인 5척 가운데 3척은 원유 및 석유제품을 운반하는 유조선이며 2척은 일반 화물을 싣는 벌크선이다.

또 6월 말 현재 중동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은 모두 49척으로 △유조선 30척 △액화천연가스(LNG)선 11척 △액화석유가스(LPG)선 2척 △컨테이너선 6척 등이다.

박용문(朴容文) 해운물류과장은 “상선(商船)들은 소형 선박의 ‘자살 테러’ 등에 대비할 만한 능력이 없다”며 “상황이 급박하다고 판단되면 1991년 걸프전 당시 미국 함대가 상선을 호위한 전례 등을 참고해 관련 부처와 함께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운업계는 선박에 대한 보안 및 경계를 강화하면서도 첩보의 여파 때문에 한국 선박에 대한 대외 신인도가 떨어져 경제적 피해를 볼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익명을 요구한 해운회사 관계자는 “화주(貨主)들이 불안감으로 인해 화물을 배정하지 않거나 첩보 때문에 보험료 등이 인상되면 운송비 경쟁력이 떨어져 피해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차지완기자 cha@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