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 투데이]한은, 물가상승 압력 제대로 보고 있나

  • Array
  • 입력 2010년 10월 1일 03시 00분


코멘트
물가가 심상치 않다. 2%대 중반에 머물던 물가상승률이 9월에 3%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4분기 이후 내년까지 물가상승률이 3%대 중반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늘고 있다. 일각에서는 미국이나 유럽 경제가 나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보다 오히려 디플레이션을 걱정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글로벌 소비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경제가 나쁜데 어떻게 물가가 오를 수 있겠냐는 얘기다.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소비자물가지수 편제 자체가 문제라고 지적될 만큼 실제 물가는 의미 있게 오르고 있고 기대 인플레이션도 불안한 상황이다.

우선 우리 경제성장 속도가 빠르다.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은 물가를 자극하지 않고 만들어낼 수 있는 생산량인 잠재GDP를 이미 넘어서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수요를 맞추기 위해 우리나라에서 물건을 만들어 내려면 목표치보다 물가가 높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란 얘기다.

환율 하락에 따른 물가 안정 효과도 끝나가고 있다. 달러당 원화 환율은 올해 상반기에 작년 상반기보다 15%가량 절상됐으나 이제 전년대비 절상 폭이 5% 미만으로 떨어졌다. 아직도 물가 안정 효과를 주고 있긴 하지만 크기는 현저히 줄었다. 게다가 우리 환율 하락 폭은 앞으로도 빠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외환보유액 급증에서 알 수 있듯 정책당국이 달러를 사서 달러 가치 하락 속도를 늦추고 있기 때문이다.

또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많은 경제주체가 저성장 환경의 선진국이 풀어대고 있는 글로벌 유동성의 국내 유입으로 물가가 오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게다가 최근 추석을 전후해 나타난 장바구니 물가 상승과 전세금 상승도 서민들의 인플레이션 기대를 끌어올리고 있다.

한국은행은 느슨한 통화정책을 지속하고 있다. 7월에 정책금리를 올렸지만 여전히 물가상승률보다 훨씬 낮은 수준이다. 8, 9월에는 연달아 정책금리를 동결했다. 그러다 보니 단기 자금을 조달해 중장기 채권을 사는 투자자가 늘어 시장금리도 떨어지고 있다. 물가 안정의 책임을 지고 있는 중앙은행이 단호한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 상황에서 경제주체가 물가 안정을 기대하긴 어렵다.

금융위기 이후 글로벌 공조라는 대의에 따라 많은 국가가 정책금리를 내렸지만 작년 하반기부터 몇몇 국가는 인플레이션 안정을 위해 정책금리를 올리거나 대출증가율을 억제하고 있다. 글로벌 공조가 각국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는 점에서 당연한 대응이다. 국제통화기금(IMF)도 얼마 전 우리나라 통화정책의 정상화가 필요한 상황임을 지적한 바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물가가 아직 낮다는 이유만으로 이른바 미시적 대책만을 고집하고 있다.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는 한 물가 상승 압력이 높아질 만한 환경으로 보인다.

최석원 삼성증권 채권분석팀장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