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그게 이렇지요]공정공시제 1일 시행되면

  • 입력 2002년 10월 30일 18시 10분


《11월1일부터 공정공시제도가 시행됩니다.

이 제도에 직접 영향을 받는 사람은 증권사에서 기업들의 수익 구조를 분석하고 적정주가를 제시하는 일을 하는 애널리스트들과 이들에게 자기 기업을 홍보하는 IR(투자자홍보) 담당자들입니다.

하지만 이 제도의 도입은 투자자들, 특히 개인투자자에게도 큰 의미가 있습니다. 잘만 대응하면 투자 수익률도 높아지고 한국 증시의 체질도 튼튼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정공시제의 내용은 아주 간단합니다.

“상장 및 등록 기업들은 중요한 투자정보를 공시를 통해 애널리스트, 개인투자자 등 모든 이해당사자들에게 동시에 알려야 한다.”》

-당연한 이야기로 들리는데…, 지금은 안 그렇다는 건가요?

불행히도 지금은 안 그렇습니다. 지금은 애널리스트가 기업과 투자자 사이에서 정보를 중개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문제는 애널리스트들이 투자자들을 차별대우한다는 데 있습니다.

지난주 수요일 경기 성남시에 있는 한 기업을 탐방한 A애널리스트를 예로 들어 보지요. A씨는 이날 서울로 돌아오는 길에 평소 자기 증권사에 ‘사자’ 또는 ‘팔자’ 주문을 많이 내는 B펀드매니저에게 전화를 걸어 탐방 기업 재무책임자(CFO)나 IR담당자에게 들은 얘기를 귀띔해줍니다. 목요일 아침에 A씨는 탐방 결과를 정리해 기관 고객들에게 e메일로 보내줍니다. 개인투자자 E씨가 A씨의 탐방 결과를 받아보는 시점은 금요일 아침에 배포되는 데일리를 통해서입니다. A씨와 E씨의 정보 입수 시간은 이틀이나 차이가 납니다.

이러니 개미는 막대한 자금을 갖고 시장을 좌우하는 외국인은 물론 정보력에서 한발 앞서는 기관을 이기기 힘든 것입니다.

-공정공시제가 시행되면 애널리스트 역할이 위축돼 투자 정보의 양이 줄어들지 않을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애널리스트의 역할이 줄어들기보다는 그 역할이 변합니다. 이젠 따끈따끈한 정보를 잘 빼내는 애널리스트보다는 자기가 맡은 업종과 기업의 큰 흐름을 꿰뚫어볼 수 있는 애널리스트가 호평을 받게 될 것입니다. 경쟁의 차원과 질이 높아지는 것이죠.

2000년 10월부터 이 제도를 시행해오고 있는 미국에서도 부작용은 크지 않았습니다. 도리어 정보의 양과 질면에서 제도 시행 전보다 나아졌다는 평가가 많이 나왔습니다.

-한국증시는 소문난 냄비 증시인데, 이런 제도가 무슨 소용이 있겠습니까?

귀가 엷은 ‘묻지마 투자자’나 오르면 내 탓, 떨어지면 작전 탓인 ‘말리지마 투자자’들에게는 사실 아무 소용이 없습니다. 오로지 ‘이제부터 나는 아는 종목만 사겠다’고 결심한 투자자들에게는 기대 이상의 투자 성과를 가져다 줄 것입니다. 진지하게 연구하는 투자자들이 많아지면 아무래도 증시 전체의 분위기가 점점 안정되고 성숙해질 것입니다.

-거, 말이 쉽지, 우리 같은 개미들이 연구는 무슨 연구….

개미들이 어영부영해서는 갈수록 살아남기가 점점 더 힘들어질 것입니다. 자기 종목에 대해 애널리스트 이상으로 잘 아는 프로 투자자가 될지, 아니면 속 편하게 뮤추얼펀드에 돈을 맡길지 선택을 해야 합니다.

지금부터 공부를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증권거래소와 코스닥증권시장 홈페이지의 공시 정보를 자주 확인하고 그 의미와 활용법을 깨쳐나가면서 자기가 아는 범위 안에서만 투자를 하는 것이 시작이자 곧 반(半)입니다.

이철용기자 lcy@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