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진정한 ‘진실 화해 미래’로 가려면

  • 입력 2004년 8월 1일 18시 42분


코멘트
열린우리당이 과거사의 어두운 유산을 정리하기 위해 ‘진실 화해 미래위원회’ 구성을 추진키로 했다고 한다. 노무현 대통령이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의 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과거사 문제를 포괄적으로 다룰 국가적 사업이 필요하다”고 한데 대한 당 차원의 응답인 셈이다.

이 위원회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이 인종차별(아파르트헤이트)에 대한 진상 규명을 위해 94년 출범시킨 ‘진실과 화해위원회’를 차용한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모델이 일제 36년에 이은 분단과 전쟁, 그리고 근대화와 민주화를 겪으면서 다층적 갈등구조를 형성해 온 우리 실정에 맞는지는 의문이다. 어떤 능소능대(能小能大)한 잣대가 있기에 무수히 굴곡진 우리의 근현대사를, 그것도 포괄적으로 재단하겠다는 것인가.

남아공은 ‘살아있는 역사’를 대상으로 관용과 화해를 추구했지만 노 대통령과 열린우리당은 이미 대부분 ‘역사’가 돼버린 과거사를 규명과 청산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

남아공은 억압받던 80%의 흑인이 가해자였던 20%의 백인에게 용서의 손길을 내밂으로써 분열을 치유하고 사회적 통합을 이루고자 했다. 우리의 경우는 어떤가. 과거사 청산을 외치는 집권 여당이 과연 편 가르기나 배제(排除)가 아닌 진정한 통합을 위해 과거사를 거론하고 있는가. 불행히도 그렇게 생각하는 국민은 많지 않다. 20년 남짓한 민주화운동 경력만으로 길게는 한 세기에 가까운 역사를 임의로 재단하려 한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적지 않은 것이 엄연한 현실이다.

이런 식의 과거사 청산은 성공하기 어렵다. 그 의도와 배경에 대해 의구심이 증폭되고 급기야는 “기득권층에 맞서 지지층의 결속을 강화하기 위해서 과거사에 집착하고 있다”는 지적까지 나온다면 오히려 분열과 갈등만 조장할 뿐이다. 역사가 특정한 정치적 목적을 위해 동원된다면 그 또한 훗날 규명과 청산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