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이 오렌지색으로”…美 알래스카서 보인 지구 온난화의 영향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5월 23일 15시 24분


코멘트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물. X(트위터) @JeffreyJDavis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물. X(트위터) @JeffreyJDavis
미국 알래스카의 강 수십 개가 녹을 푼 듯한 주황빛으로 변하는 일이 발생했다. 전문가들은 이 현상이 지구 온난화로 인한 영구 동토 해빙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22일(현지시간) 영국의 일간지 가디언은 최근 북극 일대의 지표 아래 동토층이 녹으면서 토양에 갇혀있던 철 등의 광물들이 용출돼 알래스카 일대의 강물 색깔이 변하는 현상에 대한 연구를 보도했다.

이같은 현상은 2018년 알래스카 지역에서 처음 관찰됐다. 당시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물들은 맑은 빛깔에서 옅은 오렌지색으로 변했고, 강물이 변한 지 1년 후 인근 지역인 코북 밸리 국립공원 내 아킬리크 강의 지류에서는 토종어류 2종이 완전히 자취를 감췄다.

해당 현상에 대한 연구를 이끌고 있는 브렛 포울린 미 데이비스 캘리포니아대(UC 데이비스) 조교수는 “우리나라의 가장 오염되지 않은 강들 일부에서 기후 변화가 가져온 ‘뜻밖의 결과’를 현재 목격하고 있다”고 전했다.

포울린 교수는 영구 동토층의 해빙으로 토양 속의 철과 구리, 아연, 카드뮴 등 광물이 산소와 반응해 색깔이 변하고, 이런 성분들이 녹아 들어가면서 강물 색이 녹슨 듯한 색깔로 바뀐다고 주장했다.

그는 해당 현상이 발생한 후 인근 지류의 토종어류가 사라진 것과 관련해 “이런 강물이 다른 강과 섞이면 해당 광물들은 수상 생태계에 더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물. X(트위터) @ZT_Followers
알래스카 북부 브룩스 레인지 일대의 강물. X(트위터) @ZT_Followers
포올린 교수는 “우리의 조사 결과, 강물이 오렌지색으로 변하면 먹이 사슬의 필수 토대인 강바닥의 대형 무척추동물들과 생물막이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런 현상은 어류의 서식지를 바꿔놓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산화로 인한 변색은 토양 가장 깊숙한 곳까지 녹는 7월과 8월 한여름에 일어나는 계절적인 현상으로 여겨지지만, 알래스카에서는 이같은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다.

매체는 과학자들이 이제 알래스카, 캐나다, 러시아 등 극지방을 포함한 영구동토 지대에서 일어나는 산화로 인한 변색 현상의 장기적 영향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한다고 전했다.

우드윌 기후연구센터에서 북극 연구를 맡고있는 스콧 졸코스 박사는 “이 지역(알래스카)은 지구 나머지 일대보다 온난화 속도가 최소 2∼3배는 빠른 곳”이라며 “이런 방식의 변화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최재호 동아닷컴 기자 cjh1225@donga.com
#지구온난화#global warming#알래스카#alaska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