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간공확장술로 각종 척추질환 해결”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1월 10일 03시 00분


코멘트

연세광혜병원

게티이미지코리아
게티이미지코리아
현대인들은 앉아 있는 시간이 길고 운동량도 부족한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허리디스크, 척추관협착증 등 다양한 척추질환의 발병도 늘고 있는 추세다. 예전만 해도 이러한 척추질환은 주로 노년층에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최근에는 잘못된 생활 습관, 비만 등으로 20대부터 50대까지 다양한 연령층에서 발생하면서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척추질환은 한 번 생기면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미리 관심을 갖는 게 중요하다. 평소 올바르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개선하고 주기적인 운동을 통해 주변 근육을 단련하는 등 일상 속 관리가 필요하다.

이미 척추질환이 나타나기 시작한 경우라면 이에 알맞은 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특히 나이가 들면서 우리 몸 이곳저곳에서는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데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 있는 추간판(디스크)도 마찬가지다. 뼈는 나이가 들면서 두꺼워지거나 삐죽삐죽하게 자라나면서 신경을 압박한다. 척추뼈를 지탱해 주는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지는데 이로 인해 척추 협착(척추관협착증)이 생긴다.

척추 협착의 증상은 대부분 50∼60대에 나타나지만 선천적인 요인이 있을 때는 더 일찍 시작되기도 한다. △조금만 걸어도 다리가 터질 것같이 아프거나 △다리 통증으로 걷다가 꼭 쉬었다 가게 되는 경우 △허리를 앞으로 구부리거나 의자에 앉으면 다리 통증이 나아지는 경우 △다리 감각이 떨어지거나 저린감이 생기는 등 다양한 증상이 있으면 척추 협착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초기에는 보존적 치료를 먼저 시도한다. 휴식을 취하거나 소염진통제·근육이완제 복용, 주사 치료 등으로 증상을 개선시킨다. 보존적 치료에도 증상이 좋아지지 않거나 일상생활이 힘들 만큼 심하다면 좀 더 전문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척추 수술은 최후 수단인데 최근에는 수술이 아닌 최소 침습적 치료 방법인 추간공확장술로 통증을 잡는다.

이 시술은 특수 키트로 추간공 내외측 인대, 특히 척추관의 경우는 황색 인대의 일부를 절제해 좁아진 공간을 넓힌다. 이렇게 신경 및 혈관에 가해지는 압박을 줄여 통증을 완화하고 혈류를 촉진하는 방식이다. 마치 막힌 하수도를 뚫듯이 특수 카테터를 이용해 염증 유발 물질을 박리한 후 넓어진 공간으로 염증 유발 물질을 배출해 생화학적 요인을 동시에 해결한다.

연세광혜병원 이원창 대표원장은 “추간공확장술은 전신마취 없이 국소 수면마취만으로 당뇨병이나 심혈관질환, 고령으로 전신마취가 어려운 환자들도 시술이 가능하다”며 “시술 결과는 의료진의 경험과 수술 기법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만큼 경험이 많은 의사를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윤희선 기자 sunny03@donga.com
#헬스동아#건강#의학#연세광혜병원#척추질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