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탕만 줄였을 뿐인데…몸에 나타난 건강 효과

  • 동아닷컴
  • 입력 2023년 4월 8일 16시 00분


코멘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무더위가 시작되면 시원한 가당 음료를 찾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식후 달달한 커피나 과일 음료 등의 유혹을 끊어내는 것은 쉽지 않지만, 과도한 당 섭취는 비만과 당뇨 등 성인병의 주범이다. 최근 미국의 건강매체 잇디스낫댓은 설탕을 줄였을 때 우리 몸에 나타나는 건강 효과를 전하며 저당 실천을 권고했다.

우선 설탕을 줄이면 체내 염증이 감소한다. 만성 염증은 당뇨병과 심혈관 질환, 알츠하이머, 관절염 등 광범위한 질병과 관련이 있다. 2006년 한 연구는 설탕이 각종 체내 염증과 만성 염증을 직접적으로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했다. 첨가당이 없는 식단을 유지하면 관련 질병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설명이다.

영양학자인 앨리스 톨먼 박사는 케이크와 쿠키 등 정제된 설탕 섭취가 우리 몸을 나른하고 무기력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되레 설탕을 줄였을 때 에너지가 증가하고 기분이 좋아진다는 것이다. 당 섭취를 줄이는 것은 심신에도 영향을 끼친다. 2019년 한 연구에 따르면 설탕이 많이 함유된 식단은 뇌 기능 변화와 감정 상태 변화, 불안 등을 유발했다.

설탕 섭취를 줄이면 치아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누구나 알 만한 이야기다.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가당 음료를 섭취하는 성인은 마시지 않는 이들보다 치아 질환이 30% 더 많았다. 또한 정기적으로 설탕이 함유된 탄산음료를 마시는 아이들은 마시지 않는 아이들에 비해 충치에 걸릴 위험이 약 2배 높다는 보고서가 나온 바 있다.

또 소화기계 질환이 있다면 설탕을 줄이는 것이 좋겠다. 좋은 내장 박테리아가 장 속에서 더 나은 균형을 이루도록 돕기 때문이다. 영양학자 제니 애스케우 박사는 “당은 소화 문제로 이어질 수 있는 나쁜 박테리아를 장에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당을 줄이면 피부도 매끈해진다. 프랑스 연구팀이 최근 2만4000여 명의 식단을 분석한 결과, 당 섭취량이 성인 여드름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세계보건기구(WHO)의 하루 설탕 섭취 권고량은 50g 이하다. 우리가 자주 마시는 음료에도 당이 상당량 포함됐다. △콜라·사이다 등 탄산음료 250㎖당 약 23g △과일 음료 200㎖당 14.2g △커피믹스 1잔당 약 11g△초콜릿 우유 200㎖ 약 20g 등으로 알려졌다.

조혜선 동아닷컴 기자 hs87cho@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