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버드대의 교수이자 건강전문가인 아이민 리(I-Min Lee) 박사에 따르면 ‘만 보’는 1960년대 일본에서 인기를 끌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1964년 도쿄올림픽 이후 높아진 피트니스에 대한 관심을 활용하고자 했던 한 시계 제작사가 만보계를 대량생산했죠. 이렇게 ‘만보계’가 자리 잡으면서 우리들의 머릿속에도 ‘만보’가 하나의 목표로 각인되게 됐습니다.
하지만 오늘날의 과학은 건강과 장수를 위해 하루에 1만보씩이나 걸을 필요는 없다고 말합니다. 2019년 리 박사와 동료들은 하루에 4400보 정도를 걸었던 70대 여성들이, 하루에 2700보를 채 걷지 않은 여성들과 비교할 때 조기사망 위험을 40% 가량 줄인 것을 발견했습니다. 하루 5000보 이상 걷는 경우에도 조기사망 위험이 더 낮아졌지만, 걸음을 더 걷는다고 사망위험률이 낮아진 것은 하루 7500보까지였습니다. “1만 보”라는 목표의 절반을 채 채우지 못해도 충분히 사망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얘기인거죠.
보통 정부들에서는 걸음 수보다는 시간을 가이드라인으로 제공하는데, 일상생활의 일부로서 하는 운동을 더해 일주일에 적어도 150분, 하루 30분 가량 운동할 것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걸음수로 환산하면 일주일에 1만6000보가 조금 넘고, 하루 2000보에서 3000보 정도가 될 것이라고 이 박사는 말합니다. 만약 쇼핑이나 집안일 등 일상생활로 하루 한 5000보 정도를 걷는다면 2000보~3000보만 더해도 하루 7000보~8000보를 걷게 되는 것이고 이는 “딱 좋은” 걸음수가 됩니다.
장윤정 기자 yunjung@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