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내년 2월→10월 연기

  • 뉴스1
  • 입력 2020년 12월 29일 11시 10분


코멘트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에 세워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모형. © 뉴스1
밀양아리랑우주천문대에 세워진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모형. © 뉴스1
한국형발사체 ‘누리호’ 발사 시기가 2021년 상반기에서 하반기로 변경됐다. 당초 내년 2월과 10월 발사를 예정했으나 발사체 제작에서 까다로운 부분으로 꼽히는 1단부 제작의 부족한 점을 완벽히 보완한 뒤 2021년 10월, 2022년 5월 발사하기로 결정했다.

이와 함께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이 2027년 발사를 목표로 내년부터 시작된다.

◇1단부 분해·재조립 반복…“추가 시간 필요”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18회 국가우주위원회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Δ한국형발사체개발 추진현황 및 향후 계획안 Δ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 계획안까지 두 개 안건을 확정했다.

먼저 이날 국가우주위원회는 민간 전문가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의 의견을 수용해 한국형발사체 개발의 충분한 준비를 통한 발사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발사일을 조정하기로 결정했다.

한국형발사체는 산·학·연 전문가 15인으로 구성된 전담평가단을 통해 연구개발 과정과 사업관리에 대한 자문 및 평가를 받고 있다. 전담평가단은 올해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간 한국형발사체의 향후 개발 일정에 대한 종합 점검을 수행했다.

그 결과, 한국형발사체의 발사 성공률을 제고하고 안정적 개발을 추진하기 위해 1차 발사는 2021년 10월, 2차 발사는 2022년 5월에 가능한 것으로 도출됐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반영해 한국형발사체 발사시기를 변경하는 계획을 수립·확정했다.

이번 일정 조정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발사체의 1단부 개발이다.

1단부는 발사체에서 가장 큰 추력을 내기 위해 75톤급 엔진 4기가 클러스터링된 구조로 설계돼 체계복잡성이 높다. 이 때문에 인증모델 개발까지 분해와 재조립을 반복하는 과정이 진행됐다.

이외에도 한국형발사체의 전기체(ILV·단간 조립이 완료된 발사체)를 구성하기 위한 단간 조립, 극저온 환경에서 기체 건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WDR(Wet Dress Rehearsal)을 실행하기 위해 추가적 시간이 필요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한국형발사체는 2010년부터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해온 우주발사체로서 연구진들은 기술적 난제를 접할 때마다 문제를 해결하고 효율적 개발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핵심 기술들을 배우고 축적해왔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본 발사를 앞두고 연구진과 관련 산업체들은 더욱 심혈을 기울이면서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며 “정부도 이번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돼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천리안3호 개발 확정…2027년 발사 목표

이날 과기정통부는 국가 재난·안전 대응 역량 강화 및 미래 이동통신 패러다임 전환에 대비한 공공복합 통신위성(천리안3호) 개발 착수 건도 확정했다.

정지궤도 공공복합통신위성 개발사업은 지난 6월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해 2021년부터 약 7년간 추진되는 사업으로 2027년 발사가 목표다. 총 소요예산은 4118억2000만원이다.

위성본체는 천리안위성 2A, 2B호의 성과를 바탕으로 전기추진시스템과 고성능 전 지구적 항법위성시스템(GNSS) 수신기를 적용해 개발될 계획이다.

3종의 통신탑재체(광대역통신 탑재체·정보수집 탑재체·위성항법보정 탑재체) 또한 해외자문을 받아 국내 주도로 개발된다. 특히 천리안위성 1호가 사용 중인 Ka대역 궤도 주파수를 이어받아 임무 수행에 활용할 예정이다.

정부는 해당 위성을 통해 향후 수재해 감시, 해경활동 지원, 재난지역 긴급통신 지원 등 재난·안전 대응 지원과 GPS 위치보정신호 제공 및 미래 위성통신 기술의 테스트베드 역할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환경부는 수재해 대응을 위한 실시간 산·강·댐, 하천 감시와 수문 관리 등 광범위 감시와 영상정보 수집체계 구축을 통해 긴급상황 시 적기에 대응하고 국민의 생명·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해양경찰청은 경비함정 내 중요 정보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다양한 무인·첨단화 기술장비 도입 및 활용을 위한 통신기반을 갖춤으로써 해상방위와 수색구조 활동 임무 역량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 우리나라 전역에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인 정밀한 위치정보서비스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기 위해 ‘한국형 정밀 GPS 위치보정시스템’(KASS)을 구축 중인 국토교통부는 여기에 활용될 항법 탑재체를 이번에 국산화함으로써 차세대 위성항법 보정기술의 국내 자립과 기술고도화를 꾀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인증·검증체계 기술개발에도 해당 기술을 연계해 활용할 계획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는 공공복합통신위성을 활용해 위성통신 관련 미래 선도기술 개발 및 검증을 위한 테스트베드로 이용할 예정이다.

세부적으로 지상 이동통신과 위성통신을 연계하려는 국제 표준화 시도가 있는 만큼 5세대(5G) 이동기지국 기술 등 지상·위성 연계 관련 선도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또 국내 위성통신 관련 산업체 등이 개발하는 신기술·신규 서비스 활용 가능성 검증을 위한 테스트 환경을 제공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발사체, 위성, 달탐사 등 주요 체계개발 사업 추진 시 일정 지연이 최소화되도록 사업 관리를 개선한다는 계획이다.

또 표준화된 일정관리 체계를 마련해 연구현장의 적용을 의무화하고 사업별 일정관리자를 지정함으로써 관리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평가를 절차화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주관기관의 사업 추진현황을 정부와 정기적으로 공유하고 위험요소 발생 시 즉시 보고를 의무화해 향후 추가적 일정 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할 방침이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