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해상대기오염, 일본·태평양의 40배"

  • 입력 2007년 3월 1일 15시 13분


코멘트
한반도 해상 대기 중 이산화황(SO2) 평균 농도가 중국발 오염물질의 영향으로 일본 근해나 태평양 지역보다 최고 10배 이상 높게 나타났다.

또 국내에서 내린 산성비에 포함된 오염물질인 황(S) 성분중 최고 94%가 중국에서 발생, 이동해 온 것으로 분석됐다.

1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반도 해상 대기(1.0~1.5㎞ 상공)중 이산화황 농도는 평균 2.0~2.3ppb로 일본 근해 농도 0.58ppb, 태평양 지역 농도 0.2ppb에 비해 3.7~10.8배로 높았다.

우리나라 해상 대기 오염상태는 중국으로부터 기류를 타고 건너오는 오염물질 정도에 따라 크게 좌우됐으며 지난해 10회 측정 중 7회에 걸쳐 이산화황 농도가 급증했는데 이는 중국서 이동한 오염물질 탓인 것으로 분석됐다.

기류가 중국 동중국해를 포함, 중남부 공업 지역을 거쳐 대기오염물질을 옮겨온 경우 이산화황 농도는 6.5~8.0ppb 수준에까지 이르러 일본 해역이나 태평양보다 최고 40배 이상으로 높아지는 반면 여타 지역을 거쳐 기류가 이동하면 농도가 0.4~0.7ppb에 불과할 정도로 큰 차이를 보였다.

한반도 대기중 질소산화물(NOx)는 1.64~4.79ppb로 일본과 태평양 지역 0.33~1.56 ppb에 비해 다소 높고 기류가 중국 산둥반도와 발해만 연안, 동중국해를 거치면 농도가 다소 높아지는 것으로 관측됐다.

오존 농도는 기류가 중국 중남부를 거치면 2배 가량으로 높아졌다.

또 항공기 관측 결과(5회) 우리나라 지상에 먼지처럼 떨어지는 오염물질 황의 건성 침적량 중 7~19%, 비에 섞여 지상으로 떨어지는 황의 습성 침적량 중 51~94%가 중국에서 발생,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황의 건성 침적량 중 우리나라 자체에서 발생한 기여율은 74~90%, 습성 침적량 중 자체 기여율은 5~33% 수준이다.

습성 침적량 중 봄철의 경우 중국 남부의 영향이 73~86%, 여름철은 중국 중부의 영향이 50~79% 등으로 기상 조건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지역이 달랐다.

김동원기자 daviskim@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