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진단]건강한 창업 생태계를 위한 첫걸음

  • 동아일보
  • 입력 2016년 11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주성원 산업부 차장
주성원 산업부 차장
  ‘암웨이 기업가 정신 지수(Amway Entrepreneurial Spirit Index)’라는 게 있다. 글로벌 기업 암웨이가 세계 각국 국민을 대상으로,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3가지 요인(창업하려는 의향, 기술 등 창업 실현 가능성, 주위 압력에도 불구하고 사업을 계속하려는 의지)을 설문 조사해 산정하는 지수다. 암웨이는 매년 이 지수를 포함한 ‘글로벌 기업가 정신 보고서’를 발간한다.

 16일 발간된 올해 보고서에 나타난 한국의 기업가 정신 지수(48점)는 조사 대상 45개국 중 23위다. 세계 평균(50점)보다 낮다. 한국인은 ‘창업하려는 의향’(긍정적 답변 64%)에서는 세계 평균(긍정적 답변 56%)을 웃돌았지만, 실현 가능성(37%)과 의지(44%)에서 세계 평균(각각 46%, 49%)에 못 미쳤다.

 올해 보고서에는 눈에 띄는 조사 결과가 하나 더 있다. 창업자로서 소비자를 ‘내 고객’으로 만드는 과정이 ‘할 만한가(편하게 느끼는가)’라고 물은 데 대한 것이다. 한국인의 62%가 이 과정이 ‘불편하다’고 답했다. ‘할 만하다(편하게 느낀다)’라는 대답은 28%에 그쳤다. 긍정적 대답은 45개국 중 꼴찌, 부정적 대답은 1위다.

 이들을 종합하면 한국의 예비 창업자들은 창업 의욕은 있는데 실제로 이를 어떻게 사업화할지, 또는 어떻게 시장을 개척할지에 대해서는 제대로 모른다는 결론이 나온다.

 실제로 설익은 준비에 의욕만 앞서 창업 전선에 뛰어들다 보니 금방 사업을 접는 일이 허다하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한국에서 창업 5년 후까지 살아남는 기업은 전체 창업 기업의 29.0%(2013년 기준)에 불과하다. 미국과 유럽의 창업 5년 생존율은 각각 45.8%와 44.4%다.

 그런데도 지난해 한국에서 새로 돛을 올린 벤처기업이 6600개가 넘는다. 창업가는 실패를 두려워해서는 안 된다지만, 한국의 창업 생태계가 이처럼 ‘다산다사(多産多死)’ 구조인 것은 심각한 문제다.

 얼마 전 동아일보 청년드림센터는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IITP) 및 실리콘밸리 글로벌혁신센터(KIC)와 글로벌 인턴십 사업을 추진하기 위한 업무협약(MOU)을 맺었다. 가깝게는 언론사와 공공기관이 힘을 합쳐 대학생들에게 창업 선진국 기업의 생생한 업무 현장을 경험할 기회를 주자는 취지다. 멀게는 이 경험을 토대로 ‘성공한 창업’, ‘준비된 창업’을 확산시켜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탄탄한 창업 생태계를 육성하자는 포부를 담고 있다. 청년드림센터에서 청년창업팀을 맡고 있는 필자도 이 작업에 관여하고 있다.

 예비 창업자의 인턴십 경험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싱가포르국립대(NUS) 사례에서 알 수 있다. NUS는 2002년부터 창업에 관심 있는 학생을 미국과 유럽의 스타트업에 인턴으로 파견하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올 6월까지 해외 인턴십을 경험한 학생 3000여 명 가운데 300명이 실제로 스타트업을 창업했다.

 거듭 강조하지만 한국에서도 예비 창업자들이 폭넓은 직간접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났으면 한다. 이런 점에서 최근 창업 선진국의 ‘창업 노하우’를 가르치는 대학이 속속 등장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한동대와 국민대, 가천대 등에는 학생들을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의 인턴으로 보내는 과정이 있다. KAIST는 올해 ‘창업 석사’ 과정을 개설했다.

 고무적이다. 이런 작은 발걸음이 결국 한국의 ‘기업가 정신 지수’ 순위를 끌어올릴 동력이기 때문이다.

주성원 산업부 차장 swon@donga.com
#창업#암웨이 기업가 정신 지수#벤처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