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동아일보
전체메뉴
검색
최근검색어
최근 검색어
내역이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닫기
한국어
한국어
English
中文
日文
동아미디어그룹
동아미디어그룹
채널A
스포츠동아
헬스동아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오피니언
사설
오늘과 내일
횡설수설
동아광장
시론
광화문에서
현장에서
뉴스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매거진
신동아
주간동아
여성동아
매거진동아
동아비즈니스리뷰
하버드비즈니스
리뷰코리아
어린이동아
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수학동아
에듀동아
섹션
책의 향기
스타일매거진Q
골든걸
즐거운 인생
edu+
The Original
헬스동아
실시간 뉴스
이슈 포인트
연재 포인트
트렌드뉴스
뉴스레터 신청
기자
동아APP서비스
오늘의신문
신문보기(PDF)
구독신청
보도자료
보이스뉴스
RSS
동아방송 DBS
채널A
스포츠동아
비즈N
MLB파크
보스
VODA
IT동아
게임동아
이슈
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공유하기
공유하기
닫기
기사
49
개
# 헬스동아
# 건강
# 의학
# 질환시그널
# 턱관절 장애
# 궤양성 대장염
# 임신중독증
# 고혈압
# 이상후각
# 악취
최신기사
날짜별
지면기사만 보기
지면기사만 보기
턱에서 소리나고 씹을 때 통증… 나쁜 습관 때문일수도[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턱에서 ‘따각’ ‘지익지익’ 같은 소리가 자주 난다면 턱관절 질환의 초기 증상이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턱관절은 입과 함께 움직이는 부분으로 머리뼈와 턱뼈를 연결해준다. 상·하·좌·우 어떤 방향으로든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매일 수차례 움직여야 하다 보니 손상되기도 쉽다. 턱관…
2022-06-22 03:00
완치 어려운 질환… 방치하면 대장암 위험[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을 침범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생명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완치가 거의 불가능하다. 악화되면 대장암까지 유발할 수 있어 반드시 제때 치료해야 한다. 우리나라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9657명(2008년)에서 4만6837명(2018년)으로 10…
2022-06-09 03:00
임신 20주 이후 고혈압 위험… 고령 임신부 특히 조심[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가장 많은 모성 사망 원인은 임신중독증이었다. 2016년 8112명에서 2020년 1만3757명으로 5년간 약 70% 늘었다. 임신중독증은 임신 중에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다. 임신 전부터 고혈압이 있거나 임신 20주 이전에 고혈압이 발견되는 경우…
2022-05-25 03:00
내 코에만 악취가? 질환 아닌 스트레스 때문일수도[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담배 냄새, 탄내, 상한 음식 냄새 등 악취를 ‘나만’ 맡는 경우가 있다. 주변 다른 사람은 맡지 못하고 악취를 풍길 어떤 것도 주변에 없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이상후각(parosmia)’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독특한 증상 중 하나는 냄새…
2022-05-11 03:00
재발률 높아 LDL 콜레스테롤 관리 필수[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급성 심근경색은 돌연사의 주된 원인이다. 심장으로 가는 혈관이 혈전으로 막혀 심장 괴사가 일어난다. 평소에는 아무런 증상이 없다가 혈관이 막힌 후에야 심한 가슴 통증과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마저도 소화불량과 혼동하기 쉽다. 다행히 심근경색은 응급 관동맥 스텐트 삽입술로 …
2022-05-04 03:00
음식 삼킬 때마다 목이 아프다면 ‘식도암’ 의심하세요[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식도는 20∼25cm의 원통 모양으로 입에서 삼킨 음식물이 위로 내려가는 통로다. 초기 식도암은 95%까지 완치가 가능하다. 하지만 암이 뒤늦게 발견될 경우 수술이나 항암요법, 방사선 치료가 쉽지 않고 예후 역시 좋지 않다. 식도암 발생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젊은 나이에 발…
2022-04-27 03:00
국내 도입된 면역항암제, 전이 방광암 치료에 활용[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건강한 성인은 하루 평균 1200∼1500mL의 소변을 배출한다. 건강한 소변은 밝은 노란색을 띠고 혼탁하지 않다. 만약 소변에 붉은 끼가 보이거나 거품이 나는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난다면 방광 건강에 적신호가 켜진 것은 아닌지 살펴봐야 한다. 방광암은 소변을 만들어 배출하는 요로계에 …
2022-04-13 03:00
피로는 노화 탓? 혈액질환 때문일 수도 있다[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고령 인구가 늘면서 노년의 삶의 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혈액질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혈액질환은 초기에 특이 증상이 없거나 자연스러운 노화 증상과 비슷해 놓치기 쉬워 평소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고령층에서 주로 발병하고 기존 진단받은 질환이 다른 질환으로 진행하기도 하…
2022-03-23 03:00
유전자 변이 있으면 유방암 발생 위험 4배 넘어[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정밀 의료가 발전하면서 개인의 유전자 변이를 파악하고 적합한 치료를 찾는 시대가 왔다. 여러 암종 중에서도 특히 다양한 아형이 존재하는 유방암은 이제 개인의 유전자 변이에 따른 종양 특성을 고려한 맞춤 치료로 스펙트럼을 넓히고 있다. 유방암 초기에는 대부분 아무런 증상이 없다. 가장…
2022-03-10 03:00
발작으로 고통받는 질환… 약물치료-생활습관 중요[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뇌전증은 한때 간질로 불려 정신질환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전문가들은 치료가 가능한 신경계질환임을 강조한다. 국내에는 한 해 30만∼40만 명의 뇌전증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고령화 영향으로 노년층 환자가 늘고 있는 추세다.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으로 지나친 흥분…
2022-02-23 03:00
자궁근종이 생리통-난임 유발… 수술 고려해야[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자궁근종은 자궁벽 내 근육조직에 발생하는 양성 종양이다. 35세 이상 여성 약 20%가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으며 보통 30∼40세에 많이 발생한다. 월경과다증, 월경곤란증, 비정상 자궁출혈, 복부종괴, 빈뇨, 방광 등 주변 장기 압박으로 인한 증상이 발생한다. 근종이 자궁 내강을…
2022-02-09 03:00
한 번 접질렸더니 툭하면 삐끗… 발목 염좌, 제대로 고쳐야 평생 질환 막는다[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발목을 살짝 삐거나 접질리면(발목염좌) 병원에 가지 않아도 대체로 며칠이면 부기가 빠지면서 낫는다. 하지만 길게 보면 이게 더 위험할 수도 있다. 별것 아닌 발목염좌라도 초기 치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발목이 계속 꺾이는 ‘만성 발목 불안정증’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2022-01-26 03:00
삐끗하고 부어오른 발목, 손상 정도 따라 치료법도 달라[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우리는 다양한 상황에서 발목을 접질린다. 발목을 ‘삐끗’하는 것은 순간이지만 고통은 오래간다. 이렇게 ‘발을 삐다’ ‘발을 접질리다’와 같은 말로 표현되는 것이 ‘발목염좌’다. 발목 인대가 살짝 늘어난 정도의 가벼운 발목염좌는 통증이 심하지 않아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손…
2022-01-12 03:00
일상 속 두근거림은 그저 기분 탓? ‘부정맥’ 때문일수도[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심장은 1분에 약 60∼100회 범위 안에서 규칙적으로 뛴다. 이 범주보다 느리게 뛰면 ‘서맥(徐脈)’, 빨리 뛰면 빈맥‘(頻脈)’이라고 하며, 이 같이 모든 형태의 불규칙한 심장 박동을 통칭해 ‘부정맥(不整脈)’이라고 한다. 심장박동은 너무 빨라도 문제고 느려도 문제다. 심장 …
2021-12-22 03:00
난소암 가족력 없어도 자궁 건강검진 필수[홍은심 기자의 긴가민가 질환시그널]
난소는 난자를 성숙시켜 배란하고 여성 호르몬을 만드는 곳이다. 우리 몸은 어느 곳이든 혹이 생길 수 있는데 난소도 그렇다. 이를 난소 혹 또는 난소낭종이라고 한다. 난소낭종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건강검진으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난소암 가족력이 있다면 특별한 증상이 없더…
2021-12-08 03:00
이전
1
2
3
4
다음
최근 업데이트 이슈
설명
해당 이슈를 제외하고 전체 이슈 목록 중
기사가 최신 업데이트된 순으로 보여드립니다.
닫기
폭염에 갇힌 한반도
日 향할 에어리, 우리나라엔 폭염 부채질…차바는 장맛비에 힘 보탠다
최신기사 2022.07.03 12:41
기사
61
개
코로나 거리두기 해제
신규확진 1만 59명, 이틀 연속 1만 명대…일요일 기준 5주만
최신기사 2022.07.03 12:36
기사
33,324
개
2023학년도 대입 수능
올 수능 11월17일 치른다…“마스크 착용 여부 추후 확정”
최신기사 2022.07.03 09:05
기사
883
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