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하원, 내년 NDAA 초안에 주한미군 2만8550명 유지 명시…‘워싱턴선언’ 내용 빠져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23일 15시 38분


코멘트
동아DB
미국 하원이 22일(현지 시간) 주한미군 규모를 현 2만8550명으로 유지하고 북한, 중국, 러시아의 안보 협력에 대한 대응을 강조하는 내용의 2025 회계연도(2024년 10월~2025년 9월) 국방수권법안(NDAA) 초안을 공개했다.

야당 공화당 소속인 마이크 로저스 하원 군사위원장은 NDAA 초안에서 “미 국방부는 평화롭고 안정된 한반도라는 공동의 목표를 지원하기 위해 한미동맹을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이는 1953년 체결한 양국의 상호방위조약에 따라 약 2만8500명의 주한미군을 유지하고 모든 범위의 미국의 방어 능력을 사용한 확장억제 공약을 재확인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집권 당시 주한미군 감축을 거론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11월 대선에서 재집권하더라도 그 규모를 현재대로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다만 올해 NDAA에 포함됐던 “2023년 4월 ‘워싱턴 선언’에서 강조한 핵 억제 공조를 심화한다”는 문구 내년 초안에서 빠졌다.

한국과 미국이 북-중-러 군사협력에 적극 대응해야 한다는 대목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에게 “올해 말까지 북한, 중국, 러시아 이란 등의 국방협력 현황을 (의회에) 보고하고, 러시아가 북한에 제공한 군사지원에 대한 평가도 포함시키라”는 취지의 주문을 담았다.

초안은 또 북한, 이란 등의 장거리탄도미사일에 대한 미 본토 방어를 위해 2030년까지 뉴욕주에 추가 미사일 방어기지를 설립하라고 촉구했다. 마이크 터너 하원 정보위원장도 지난해 “북한이 뉴욕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며 미 동부 해안에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방어를 위한 제3의 미사일 방어체계를 구축하자고 밝혔다.

워싱턴=문병기 특파원 weappon@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