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0만원 산후조리원 경험한 NYT기자…“한국 출산율 낮은 이유 알겠다”

  • 동아닷컴
  • 입력 2024년 1월 30일 08시 44분


코멘트
기사 내용과 무관한 이미지. 뉴시스
기사 내용과 무관한 이미지. 뉴시스
서울의 한 고급 산후조리원을 이용한 미국 뉴욕타임스(NYT) 기자가 한국 조리원이 세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보도했다. 하지만 이용하는데 비용이 많이 든다며 한국의 출산율이 세계 최저인 이유 중 하나라고 설명하기도 했다.

28일(현지시간) NYT는 최근 한국에서 출산한 뒤 강남의 고급 산후조리원에 2주간 입소했던 로레타 찰튼 서울지국 에디터의 경험담을 소개했다. 그는 ‘서울 초보맘들을 위한 조리원에서의 3주간의 휴식과 수면’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조리원 생활을 직접 경험하고 산모들을 취재한 내용을 전했다.

찰튼 에디터가 입소했던 산후조리원은 신선한 식사를 하루 3번 제공하는 것을 기본이고 얼굴 및 전신 마사지, 신생아 양육 수업 등 서비스도 제공한다.

아울러 간호사가 24시간 상주하기 때문에 산모가 한밤중에 수유를 한 뒤 신생아를 간호사에게 맡기고 독실로 돌아가 잠을 잘 수 있다. 그는 “잠은 산후조리원에서 산모들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호사 중 하나”라고 평가했다.

찰튼 에디터는 이 밖에도 조리원 복도 곳곳에서 직원들이 세탁물을 수거하고 필라테스 강사 등이 상주해 돌봄의 질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이러한 산후조리원 입소 비용이 기간에 따라 최소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에 달한다는 데 집중했다. 그가 입소했던 산후조리원의 경우 얼굴과 전신 마사지 등의 서비스 비용을 제외하고도 2주간 입소 비용이 6000달러(약 800만 원)가 넘었다.

찰튼 에디터는 조리원 비용이 많이 들지만 경쟁이 워낙 치열해 임신 사실이 확인되는 순간 예약하지 않으면 입소가 힘들다는 실태도 보도했다. 임신 테스트기에서 이중선을 보자마자 예약한 사연, 고급 조리원에 예약하려고 2대의 휴대전화를 돌린 사연 등을 전했다.

그는 조리원을 ‘엄마들의 네트워크’로 분석하기도 했다. 한 산모는 인터뷰에서 “조리원에서 만난 친구가 아이들에게 평생 간다”며 “(엄마들에겐) 비슷한 계층에 속한 아이들과 어울리기를 원하는 마음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찰튼 에디터는 산후조리원에 큰돈을 써야 하는데도 한국에서 아이를 키우는 전체 비용에선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는 한국의 출산율을 설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이를 키우는 데 드는 높은 비용 때문에 한국인들이 출산을 꺼린다는 것이다.

한 한국인 여성은 NYT에 “산후조리원이 훌륭하다고 하더라도 단 2주에 불과하고, 이후의 삶은 또 다른 이야기이기 때문에 사람들이 출산을 꺼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예슬 동아닷컴 기자 seul56@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