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 교란 홍합 덕분에?…다큐 촬영 중 128년 된 난파선 발견

  • 뉴시스
  • 입력 2023년 12월 4일 15시 46분


코멘트

외래 홍합 관련 다큐멘터리 수중 촬영 중 발견…1895년 침몰
“호수 여과하는 홍합 많아져 물 3배 맑아져…조명 없이도 찾아”
美 CA주 “토종 수중 생태계 위협하는 외래 홍합 확산 막아야”


오대호의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는 홍합에 관한 다큐멘터리를 촬영하던 중 1895년에 사라진 128년 된 난파선이 호수 바닥에서 발견됐다고 미국 비즈니스인사이더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난파선을 발견한 다큐멘터리 제작자 이본 드레버트와 잭 멜닉에 따르면 이 배는 1895년 10월 미국 오하이오에서 온타리오까지 11명의 선원과 함께 석탄을 싣고 가던 ‘아프리카호’로 추정된다.

아프리카호는 오대호 중 하나인 휴런호 바닥에서 발견됐다. 멜닉은 “다큐멘터리 작업을 하던 중 과학자들로부터 호수 바닥에 비정상적인 구조물이 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수중 촬영용 드론을 통해 거대한 난파선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그들이 발견한 난파선은 발견 초기에는 오대호의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는 외래 홍합으로 덮여 있어 식별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역사학자와 고고학자의 도움으로 이 배가 아프리카호인 것으로 추정했다. 선박의 크기가 기록상의 아프리카호와 일치했고 난파선 근처 호수 바닥에 석탄이 흩어져 있는 것이 발견됐다.

드레버트는 “오대호의 물을 여과하는 홍합이 너무 많아서 이전보다 호수가 최대 3배까지 맑아졌다”며 “홍합 덕분에 우리는 추가 조명 없이도 거의 90m 깊이의 호수 바닥에서 난파선을 찾을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배를 뒤덮은 홍합으로 인해 난파선의 식별은 어려웠다”고 덧붙였다.

이들이 제작 중인 오대호의 홍합에 대한 다큐멘터리는 내년 초에 개봉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오대호에는 유럽과 아시아산 민물 홍합의 개체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토종 생태계를 위협하고 있다. 이 외래 홍합들은 수중 먹이사슬을 파괴하기 때문에 퇴치가 시급하지만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어류야생동물국(CDFW)은 “외래 민물 홍합들의 확산을 반드시 막아야 한다”며 “물과 접촉하는 모든 선박과 장비들을 잘 닦은 후 말려 홍합들이 서식할 수 없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