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日에 오는 22일~12월1일 군사정찰위성 발사 통보”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21일 03시 44분


코멘트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재시도한 지난 8월24일 서울시 중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는 모습.이다.  2023.8.24 뉴스1
북한이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재시도한 지난 8월24일 서울시 중구 서울역 대합실에서 시민들이 관련 뉴스를 시청하는 모습.이다. 2023.8.24 뉴스1
북한이 오는 22일부터 12월1일 사이에 위성로켓을 발사한다고 21일 일본 정부에 통보했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북한에 발사 중단을 압박하기 위해 한국·미국과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NHK 방송에 따르면 일본 국토교통성 해안보안청은 이날 새벽 선박안전 업무를 담당하는 북한 수로당국으로부터 오는 22일 오전 0시부터 12월1일 0시 사이에 이른바 ‘인공위성’을 발사하겠다는 통지서를 받았다고 밝혔다.

통지서상 낙하가 예상되는 곳은 모두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밖으로 한반도 서해 남서쪽 해상 2곳과 필리핀 동쪽 태평양 상공 1곳 등 총 3곳이다. 이에 일본 해상보안청은 이날 항행 경보를 발령해, 해당 지역을 통과하는 선박을 상대로 낙하물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앞서 북한은 올해 5월31일과 8월24일에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두 번 모두 실패했다. 8월 발사 당시에도 이번과 같은 공·해상을 예상 통과 지역으로 알렸는데, 발사 10분 만에 예고 구역 밖인 오키나와 상공을 통과했다. 이를 토대로 북한이 군사정찰위성을 다시 발사할 경우 오키나와 상공이 영향권에 들 것으로 NHK는 내다봤다.

기시다 총리는 정보 수집·분석에 만전을 기하는 한편 미국과 한국 등 관련국과 연계해 북한에 발사 중단을 강력히 요구하고, 만일의 사태에 철저히 대비할 것을 이날 새벽 유관 부처에 지시했다. 이에 관계 부처 관료들은 21일 오전 합동 회의를 갖고 각 부처에서 수집한 정보를 공유한 뒤 향후 대응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NHK에 따르면 북한이 ‘인공위성’ 발사를 사전 예고한 건 이전까지 6차례였다. 6차례 모두 예고 기간 첫째날부터 셋째날 사이에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우주발사체를 발사했다. 이 중 2009년 4월과 2012년 4월은 예고 둘째날, 2012년 12월은 셋째날, 2016년 2월과 올해 5월·8월은 첫째날에 각각 발사했다. 탄도미사일 기술을 활용한 북한의 발사체 발사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위반에 해당한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