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외교부, 미국의 투자 제한 행정명령에 “노골적 경제협박”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10일 15시 53분


코멘트
ⓒ News1 DB
ⓒ News1 DB
중국 외교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중 투자 제한 행정명령에 불만을 표하며 “노골적 경제협박”이라고 비판했다.

중국 외교부는 10일 백악관의 행정명령 발표에 대해 대변인 명의의 입장문을 통해 “미국의 대중국 투자 제한 조치에 강한 불만을 표한다”며 “이를 단호하게 반대하며 미국 측에 엄중한 항의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미국 측은 국가안보를 핑계로 미국 기업의 대중 투자를 제한해 범안보적이고 범정치화하고 있지만 실제 목적은 중국의 발전 권리를 박탈하고 자신의 패권적 사익을 수호하는 것”이라며 “노골적 경제 협박이자 과학기술적 갑질”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미국의 조치는 시장 경제와 공정 경쟁의 원칙을 위반하고 국제 경제 무역 질서를 심각하게 파괴해 글로벌 산업 공급망의 안정성을 심각하게 교란하고 중미 양국 및 세계 산업의 비즈니스 이익을 심각하게 손상시키는 것으로 본질은 글로벌화를 역행하고 탈중국화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외교부는 “바이든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디커플링(탈동조화)’ 의사가 없고 중국 경제 발전을 방해할 의사가 없다고 한 약속을 성실하게 이행할 것을 촉구한다”며 “경제 무역 및 기술 문제를 정치화·도구화·무기화를 중단해 잘못된 결정을 즉시 철회해 중미 경제 무역 협력을 위한 양호한 환경 조성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관련 동향을 예의주시하고 권익을 단호하게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중국 상무부도 “미국은 자국 기업의 해외 투자를 제한하고 ‘위험제거(디리스킹)’이라는 명목으로 투자 분야에서의 공급망 분리를 시도하고 있다”고 “중국은 이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조치를 취할 권리를 가질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향후 대응에 나설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이날 △반도체 및 마이크로 전자제품 △양자 정보 기술 △특정 AI 시스템 등 3가지 분야를 국가안보 기술 및 제품으로 선정, 관련 분야에서 중국에 투자를 제한하는 내용이 담긴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행정명령 범위에 포함된 투자 기관들은 미국 정부에 투자 사실을 통보해야 하고, 일부 거래는 금지될 수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