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日 군사 정보망 뚫었다…WP “전례없는 해킹, 미일 정보 공유 우려”

  • 뉴스1
  • 입력 2023년 8월 8일 10시 29분


코멘트
ⓒ News1 DB
ⓒ News1 DB
중국이 지난 2020년 일본의 기밀 안보 정보망을 침투해 민감 군사 정보를 빼돌린 것으로 나타났다.

워싱턴포스트(WP)는 8일(현지시간) 복수의 익명 소식통을 인용,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해커들이 지난 2020년 가을쯤 일본의 군사망에 침입해 군사력과 결점, 계획 등 기밀 정보를 탈취했다고 전했다.

사건에 대해 브리핑을 받은 국가안보국(NSA) 폴 나카소네 당시 국장과 매슈 포틴저 당시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황급히 일본으로 향했고 상황은 “충격적일 정도로 좋지 못했다”고 전직 미군 관리는 회상했다.

당시 미국은 사이버 사령부 소속 수사팀을 일본에 파견해 정보망을 정상화 하도록 지원했지만, 일본 내부에서는 아무리 동맹국이라 할지라도 미국이 기밀문서를 파헤치는 것을 경계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미일 양측은 일본 내 민간 기업을 선정해 군사망 취약점을 평가하고, 미국 국가안보국과 사이버사령부 합동팀이 그 결과를 검토하는 방식으로 타협점을 찾았다고 설명했다.

한 관계자는 “우리는 전례 없는 수준의 시스템 접근을 일본 측에 요구했다. 주권 국가라면 당연히 조심스러울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첫 해킹 자체는 도널드 트럼프 전 행정부때 시작됐지만, 2021년까지 일본의 정보망에 대한 침투가 지속돼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일본은 정보망 강화 차원에서 향후 5년간 사이버 보안 예산을 10배로 확대해 70억 달러(약 9조1500억원)를 투입하기로했고 사이버 보안 인력은 4000명으로 현재 수준 대비 4배 증가시켰다는 입장이다.

이밖에도 24시간 연중무휴로 일본 네트워크를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국방부 측은 밝혔다.

그럼에도 일본은 여전히 중국의 스파이 행위에서 해방되지 못했으며, 이는 미 국방부와 일본 방위성간 정보 공유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고 WP는 설명했다.

한 미국 국방부 고위 관리는 “사이버 안보 분야에서 일본이 막대한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을 목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 해야 할 일이 남아 있다”면서 “미 국방부는 미일 동맹의 핵심인 연합 군사 작전을 수행하는 능력에 있어 사이버 보안의 중요성을 강력히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세계 최대 규모의 해커 조직을 보유 중인 중국은 최근 사이버 공격을 통한 정보 탈취 작전을 확대하고 있다.

최근까지 마이크로소프트(MS) 클라우드를 통해 지나 러몬도 상무장관과 니콜라스 번스 중국 주재 미국 대사, 대니얼 크리튼브링크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등 미국 고위 당국자들의 이메일 계정에 접속한 바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