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왕이, 키신저 만나 “美대중정책, 외교적 지혜 필요”

  • 뉴스1
  • 입력 2023년 7월 19일 15시 55분


코멘트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19일 베이징에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과 만났다. (사진 출처=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19일 베이징에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과 만났다. (사진 출처= 중국 외교부 홈페이지)
중국 외교 1인자인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이 19일 베이징에서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과 만났다고 중국 외교부가 밝혔다.

외교부에 따르면 왕 위원은 “키신저 전 장관은 중미관계가 새로운 국면을 열고 발전하는 데 역사적인 공헌을 했으며 양국 간 상호 이해 증진에 대체할 수 없는 역할을 했다”고 말했다.

왕 위원은 ‘오랜친구’(라오펑요우)와 맺은 우정을 소중히 여긴다고 언급하며 “중국의 대미정책은 높은 연속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시진핑 주석이 제시한 상호존중, 평화공존, 상생협력을 근간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발전은 강력한 원동력과 필연적 역사적 논리를 갖고 있기 때문에 중국을 바꾸려는 시도와 중국을 포위하고 억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미국의 대중국 정책은 키신저 스타일의 외교 지혜와 닉슨 스타일의 정치적 용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만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을 설명하면서 ”미국이 대만해협 안정을 진정으로 원한다면 대만 독립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대만 독립’이라는 분열과 선을 그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키신저 전 장관은 ”미중 모두 세계에 영향력이 있으며 양국이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느냐에 세계 평화 안정, 인류 복지가 달려있다“며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양측은 동등하게 대우하고 소통을 유지해야 하며 다른 한 쪽을 고립시키거나 차단하려는 시도는 용납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의 중국’ 원칙은 미국이 ‘상하이 코뮈니케’ 에서의 약속으로 흔들리거나 파기되지 않을 것“이라며 ”현재 본인은 공직에 있지 않지만 미중 관계에 관심을 갖고 최근 양측 관계 개선 노력을 지지한다“고 밝혔다. 상하이 코뮈니케는 1972년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과 저우언라이 중국 총리가 발표한 미중 간 첫 공동성명이다.

양측은 우크라이나와 AI 문제 등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한편 키신저 전 장관은 전일 리상푸 중국 국방부장과 만났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