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100년간 비축해온 화학무기 ‘모조리 없애’…55조원 들어

  • 뉴시스
  • 입력 2023년 7월 6일 21시 51분


코멘트

1918년 1차대전 후 사용하지 않았으나 계속 생산 비축
1980년대 중반부터 제거 작업 시작…'주변사회 무해' 원칙

대외 신고된 세계의 화학무기 중 미국에 마지막으로 남아있던 비축량이 7일로 완전 제거된다고 뉴욕 타임스가 6일 보도했다.

당초 스케쥴보다 무려 수십 년이 더 걸린 완전 제거 작업으로 세계 무기 역사에 한 획을 그을 무기의 종언이라고 할 수 있다.

콜로라도주 소재 미 육군 푸에블로 화학무기 창고에서 사람 아닌 로봇 팔이 미국 그리고 세계의 마지막 화학무기를 무해한 금속으로 변환 해체하고 있다. 육군이 70년 넘게 비축해온 무기 중에는 치명적인 겨자 신경제가 가득 든 포탄도 있는데 로봇이 하나하나 쪼개고 내용물을 빼내어 물로 씻어낸 뒤 화씨 1500도로 굽는다. 그러면 해가 없는 둔한 금속 조각이 되어 콘베이어벨트를 타고 쓰레기통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이 비축재의 파괴는 수십 년이 걸렸고 미 육군은 푸에블로 내 마지막 무기가 지난 6월 파괴되었고 켄터키 것이 7일까지 없어지면 세계의 대외 신고 화학무기는 완전히 제거된다.고 말한다. 세계 전체는 몰라도 미국만은 완전 제로가 된다는 것이다.

여러 세대 동안 쌓여온 미국 비축량은 어마어마했다. 1차 대전 때 워낙 비인간적으로 사용돼 직후 사용금지 협약이 맺어졌지만 미국과 다른 강국들은 화학무기 생산과 비축을 계속했다. 집속탄, 신경작용제를 가득 채운 육상 지뢰 그리고 정글 삼림을 해로운 겨자 안개로 뒤덮는 포탄이 있고 탱크에 적재된 독성물들이 전투기로 옮겨질 준비 상태였다. 염산과 겨자 작용제 발전되었고 더 나아가 후에 VX나 사린 가스 신경작용제가 나왔다.

미국 군대는 1918년 1차대전 후 치명적 화학무기를 쓴 적이 없다. 베트남전에 고엽제 오렌지 작용제를 사용해 사람에게 큰 해를 주긴 했다.

미국은 화학무기와 함께 병원균 등 생물학적 무기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나 1970년대에 모두 파괴했다. 미국과 소련은 1989년 화학무기 비축물을 파괴하기로 원칙 합의했으며 미 상원은 1997년 화학무기협약를 비준해 다른 서명국들과 같이 화학무기를 영구히 없애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이 무기를 없애는 일은 간단하지가 않았다. 본래 발사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라 폭발물과 독성물의 조합제는 다루기가 아주 어려운 물건이 되고 만 것이다.

미 국방부는 해체 작업에 약 14억 달러가 소요되나 수 년 안에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실제는 수십 년이 더 걸린 지금에야 마무리를 앞두고 있고 들어간 비용도 420억 달러나 되었다. 예산이 2900퍼센트 증가한 것이다.

그래도 결국 해냈다. 화학무기를 모두 없애버린 것이다. 타임스는 “이는 전 지구적 스케일로 대량살상무기의 한 클래스가 몽땅 없애져버린 최초의 예”가 된다는 한 운동가의 말을 강조해서 전했다. 이 운동가는 켄터키주 자기 집 5마일 옆에 미 육군이 화학무기 수 톤을 비축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1984년부터 무기 제거 활동을 벌여왔다.

미국에 앞서 다른 강국들이 대외 공개 화학무기 비축물을 제거했다. 영국이 2007년, 인도가 2009년 그리고 러시아가 2017년 없앤 것이다. 미 국방부는 다른 나라들이 완전히 제거했다는 통보에 다소 의구심을 나타낸다. 러시아의 경우 화학무기협약에 서명하기는 했지만 미신고 비축분을 계속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학무기협약은 또 깡패 불량배 국가와 테러 조직들의 화학무기 사용을 막지 못했다. 시리아의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은 정부군이 2013년부터 2019년에 걸쳐 자국민에게 아주 많이 이 무기를 사용하도록 했다. 또 수니파 극단 이슬람주의 조직 이슬람국가(IS)는 2014년~2016년 이라크와 시리아에서 최소한 52차례 화학무기를 사용했다.

타임스는 미국 화학무기의 어머어마한 량과 이를 없애려는 수십 년 간의 노력은 인간의 어리석음을 가리키는 기념비이자 또 동시에 인간의 잠재력을 보여주는 증좌라고 말하고 있다.

특히 비축량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없앤 것이 확실한 미국의 해체와 제거가 이처럼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된 것은 시민들과 의원들이 주변 사회를 위험하지 않게 하면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한 때문이라고 강조한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