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에 쏟아지는 엄청난 中시위 콘텐츠…검열 당국 한계 도전

  • 뉴시스
  • 입력 2022년 12월 1일 17시 33분


코멘트
중국 온라인 공간에서 극단적 방역정책에 항의하는 콘텐츠들이 넘쳐나면서 인터넷 관리 당국의 한계를 시험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며칠동안 코로나19 정책에 좌절하는 중국인들이 거리로 나온 동시에 위챗, 더우인(틱톡 중국명) 등 소셜미디어에는 시위와 집회와 관련된 동영상들이 계속 등장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신문은 “이는 (시위와 연관된) 엄청난 양의 동영상들이 생성되면서 검열 당국의 자동화 소프트웨어와 검열인원이 소화하는 수준을 압도했음을 보여준다”고 전했다.

샤오창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연구원은 “이는 큰 침묵을 깨는 결정적인 돌파구”라면서 “분노가 분출되면 검열하기가 훨씬 더 어려워진다”고 강조했다.

샤 연구원은 “수백명의 시위대와 목격자들이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게시하기 때문에 검색 알고리즘이 이런 시위 영상을 검열하기는 단순한 바이럴영상을 검색하기보다 훨씬 더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검열관들은 사방에서 몰려오는 엄청난 양의 콘텐츠에 압도당하고 있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중국 네티즌들은 필터를 사용하거나 아예 거꾸로 영상을 촬영하는데 이는 알고리즘 검색을 회피하는 창의적인 수단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점점 더 많은 중국인들이 검열관을 피해 중국 내에서 접속이 차단된 트위터나 인스타그램 등과 같은 소셜미디어를 사용하고 있다. 중국 검열관의 손이 닿지 않는 미디어는 영상 저장소의 역할을 할 수 있고, 검열로 삭제된 영상을 다시 다운로드 및 업로드할 수 있게 된다.

NYT는 “최근 인터넷에 확산되는 엄청난 양의 영상은 지난 약 1년 간 수억명의 중국인에게 영향을 미친 극단적인 방역 정책에 대한 중국 내부의 깊은 분노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전직 중국 검열관이자 인터넷 제어 전문가는 “중국 당국이 관련 콘텐츠를 완전히 삭제하려면 더 많은 사람을 고용하고 훨씬 더 똑똑한 알고리즘을 개발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오랜 기간 체포, 감시, 검열이라는 각본대로 이견자들을 통제해 왔다. 검열관들은 선동을 주도하는 인원들을 식별해 이들의 움직임을 감시하고 관련 정보를 삭제해 왔다.

그러나 최근 검열 시스템의 흔들림은 중국공산당이 더 공개적인 반대에 직면했고, 새로운 도전에 직면했음을 의미한다.

30일 장쩌민 전 국가주석의 사망은 당국의 여론 통제 시도를 더 복잡하게 만들었다.

위챗 검열관들은 시진핑 체제 권위주의 경향으로 해석될 수 있는 장 전 주석 칭송 콘텐츠를 신속히 제거하고 있지만, 이러한 댓글(콘텐츠)은 여전히 많이 남아있다.

지난 봄 상하이에서 2개월간의 봉쇄 기간과 지난 9월 구이저우성에서 코로나19 관련자를 이송하던 버스가 뒤집혀 27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한 이후 인터넷 플랫폼과 정부 검열관들은 분출하는 비난을 통제하기 위해 애써왔다.

익명의 전직 검열관은 “동영상 홍수를 감당하기 위해 위챗과 같은 플랫폼 회사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직원 수의 10배에 달하는 직원을 고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만 중국 검열관들이 곧 반격하고 여론 통제권을 다시 찾을 것이라는 경고도 나오고 있다.

한룽빈 미국 조지아대 미디어 정치학 교수는 “검열관들이 엄청난 양의 콘텐트에 압도당했다는데는 동의하지만, 엄청난 양의 콘텐츠를 삭제하는 등 그들의 작업은 상당히 성공적이었다”고 평가했다.

한 교수는 “실제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지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여전히 많다는 점에서 (그들의 작업은) 꽤 효과적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NYT는 “주말 동안 발생한 광범위한 시위는 당국의 보안 강화로 소강 상태에 접어들었다”면서 “검열 등 다른 조치가 향후 몇주 동안 시위를 억제하는데 얼마나 효과적일 것인 지는 여전히 문제”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