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처럼 고립된 카타르… 국민들 사재기에 식료품 동나

  • 동아일보
  • 입력 2017년 6월 7일 03시 00분


코멘트

사우디 등 7개국 단교 후폭풍
생필품 대부분 수입에 의존… 육해공 봉쇄로 보급차단 불안감
이란 “12시간내 공급” 밝혀
카타르, 납치된 왕족 몸값으로 이란-테러세력에 10억달러 건네
사우디 등 격분해 단교조치 결정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UAE) 등 아랍권 7개국이 카타르와의 단교를 전격 결정한 것은 카타르가 이란의 후원을 받는 시아파 무장단체에 붙잡힌 왕족 몸값 명목으로 10억 달러(약 1조1200억 원)를 지급했기 때문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6일 카타르가 이란과 시아파 민병대에 7억 달러, 알카에다 연계 무장단체에 3억 달러 등 모두 10억 달러를 지급한 게 사우디 등이 단교를 결정한 요인 중 하나라고 전했다. 카타르가 1조 원이 넘는 막대한 돈을 사우디 등 수니파 아랍국가의 적대세력인 이란과 테러세력에 지급하면서 사실상 걸프협력회의(GCC)의 뒤통수를 쳤다는 것이다.

사건의 발단은 카타르 왕족 26명이 2015년 12월 이라크 남부로 사냥을 나갔다가 시아파 민병대에 납치돼 이란으로 끌려가면서부터다. FT에 따르면 시아파 민병대는 시리아에서 알카에다와 연계된 급진 수니파 무장단체 타흐리르 알 샴에 납치된 병사 50여 명의 석방을 이끌어내기 위한 협상 카드로 카타르 왕족들을 납치했다. 협상 끝에 카타르는 4월 문제의 10억 달러를 주는 조건으로 왕족 26명을 이란에서 데려왔다고 FT는 전했다.

사우디 등 7개국이 육로와 영공, 바닷길을 모두 차단하면서 카타르에선 사재기 열풍이 벌어졌다. 카타르는 풍부한 천연가스와 원유로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7만 달러를 넘는 부자 국가지만 자체 산업이 전무하다시피 해 식료품과 생필품을 주변국에서의 수입에 의존해 왔다. 단교 조치로 물품 보급이 끊길 수 있다는 불안감이 퍼지면서 도하 시내 대형마트에서는 계산대마다 줄이 25명 이상 길게 늘어섰고, 하루도 안 돼 닭과 우유 등 식료품이 동났다고 AFP가 6일 전했다.

이런 상황은 카타르의 대이란 의존도를 높이고 있다. 이란은 카타르의 단교 소식이 알려지자 12시간 안에 식료품을 카타르로 수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식료품과 전자제품 등 매년 9억 달러어치의 물품을 사우디로부터 수입했던 공백을 메워줄 수 있을지 우려하는 시각이 나온다.


이번 단교 조치로 카타르는 UAE 두바이, 아부다비와 중동의 허브 자리를 다투던 위상을 잃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도하는 중동으로 유입되는 세계 각국의 여객기가 중간 기착지로 거쳐 가는 허브였는데, 중동권 7개국이 단교함에 따라 카타르 노선을 중단시키면서 기능을 위협받게 됐다. 도하에서 열릴 2022년 월드컵 개최에도 지장을 받을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카타르 주식 시장은 단교가 발표된 5일 7.27% 급락했다.

미국은 중동 전략국가인 사우디와 카타르의 갈등을 봉합하기 위한 물밑 작업에 착수했다. 사우디는 중동 최대 동맹국이고, 카타르에는 미군의 중동 최대 공군기지가 있어 미국으로선 둘 다 놓칠 수 없는 파트너다. 카타르 알 우데이드의 미군 공군기지는 이슬람국가(IS)를 폭격하는 전초기지다. GCC 일원인 쿠웨이트도 단교 사태 중재자를 자처하고 나섰다.

이런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 자신의 트위터에 “최근의 중동 방문 때 나는 급진 이데올로기에 대한 재정 지원이 더 이상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때 중동) 지도자들이 카타르를 가리켰는데-한번 봐라!”고 글을 올렸다.

카이로=조동주 특파원 djc@donga.com
#카타르#사우디#중동#단교#생필품#사재기#보급차단#이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