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男과 女②] ‘글루미 선데이’ 서사의 멜로…재개봉의 비결

  • 스포츠동아
  • 입력 2016년 11월 2일 06시 57분


영화 ‘글루미 선데이’. 사진제공|그린나래미디어
영화 ‘글루미 선데이’. 사진제공|그린나래미디어
■ 16년만에 재개봉 ‘글루미 선데이’

블랙과 화이트, 짜장면과 짬뽕…. 그리고 남(男)과 여(女), 혹은 여와 남. ‘개취’(개인취향)일 뿐인 각기 시선에 성적(젠더·gender) 기준과 잣대를 들이댈 이유는 전혀 없다. 생물학적으로 다른 존재들일지언정, 세상과 사물을 바라보는 시선은 각자의 취향대로다. 두 남녀기자가 매주 각자의 눈으로 세상을 들여다보기로 했다. 적어도 눈치 보는, ‘빨아주기’식 기사는 없다. 엔터테인먼트 각 분야 담당기자들이 ‘갈 데까지 가보자’고 작심했다. 가장 공정하고 정정당당한 시선을 유지하자며.

● 주연: 조아킴 크롤, 에리카 마로잔, 스테파노 디오니시
● 감독: 롤프 슈벨
● 3일 개봉·청소년 관람불가·114분

● 줄거리


1944년 헝가리 부다페스트. 다정한 남자 자보와 연인 일로나가 운영하는 작은 레스토랑에 피아니스트 안드라스가 찾아온다. 안드라스는 일로나에게 첫 눈에 반하고, 직접 작곡한 노래 ‘글루미 선데이’를 선사한다. 그렇게 두 남자와 한 여자는 함께 사랑한다. ‘글루미 선데이’는 엄청난 인기를 얻지만 노래에 빠진 사람들은 연이어 자살하고, 부다페스트는 독일 나치에 점령당한다.


● 히트다 히트

불온한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세상이 정한 금기는 중요치 않아 보인다. 가령 한 여인을 두 남자가 ‘나누는’ 일도 그렇다. 쉽게 표현하면 삼각관계, 좀 고급스럽게 말한다면 세 남녀가 함께하는 인류애적인 사랑도 기꺼이 용납되는 시대가 있다. ‘글루미 선데이’가 담은 1930년대 말 헝가리의 모습이다.

16년 전 극장에서 처음 본 영화는 도무지 이해하기 어려운 사랑이었다. 두 남자와 동시에 사랑하는 여자라니. 한 사람에게 ‘올인’해도 모자랄 사랑을 두 남자와 똑같이 나누고, 그런데도 누구 한 명 질투에 휘말리기는커녕 오히려 동지애를 느끼는 사람들의 모습을 온전히 받아들이기는 어려웠다. 스무 살을 갓 넘긴 때였으니, 어쩌면 당연했는지 모른다.

16년이 지나고 다시 본 영화는 비극을 딛고 선 낙관처럼 보인다. 세상은 전쟁에 빠져 있고 폭력의 손길이 언제 눈앞에 다다를지 모르는 시간을 하루하루 살아가는 사람들은 눈물 대신 웃음을 택한다. 사랑을 나누는 데도 주저함이 없다.

그 시대에는 사랑하는 이의 죽음이 꼭 희망의 종말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주인공 자보가 결국 독일군에 붙잡혀 떠나가는 모습, 죽은 연인의 무덤 앞에서 새로운 출발을 다짐하는 일로나의 얼굴에선 뭉클한 전율마저 느껴진다. ‘우울한 일요일’이라는 뜻의 제목이 담은 역설적인 매력이 영화에 그대로 녹아 있는 듯하다.

이야기의 모티프가 된 노래 ‘글루미 선데이’는 1993년 헝가리에서 발표된 곡. 유럽을 휩쓸 만큼 인기를 얻었지만 노래에 빠진 이들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면서 한편으론 ‘죽음의 노래’로도 불렸다니. 비록 영화를 통해서이지만 너무 자주 배경음악으로 나오는 탓에 보는 내내 ‘혹시 심취되지 않을까’ 은근 걱정스러운 마음이 드는 것도, 묘미라면 묘미다.

서사가 확실한 멜로는 오래 기억된다. ‘글루미 선데이’가 16년 만에 재개봉할 수 있던 배경이 아닐까. 물론 판타지가 적당히 가미되고 감각적인 영상미까지 갖춘 요즘 멜로영화와 비교하면 아날로그의 개성이 짙다.

● 평점 아이콘, 이렇게 갑니다



● 히트다 히트
말이 필요할까요. 눈과 귀가 즐겁습니다.


● 알쏭달쏭
지금은 모르겠네요. 조금 더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 이건 아니야

시간과 돈이 아까울 수 있습니다.

이해리 기자 gofl1024@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