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장근석 “촬영장 분위기 메이커는 바로 나”

  • 입력 2009년 9월 1일 00시 25분


코멘트
배우 장근석이 영화 촬영장에서 분위기 메이커는 바로 자신이라며 해맑게 웃었다.

31일 오후 서울 동대문 메가박스에서 열린 영화 ‘이태원살인사건’ 언론시사회.

이날 주연배우로 참석한 장근석은 “촬영장이 살인을 다룬 영화 내용 때문에 어두워지기 쉬웠는데 실제로는 전혀 그렇지 않았다”며“촬영장 분위기 메이커는 바로 나였다. 촬영장의 밝은 분위기를 위해 승환이 형과 말도 안 되는 엉터리 영어로 랩을 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촬영 스케줄이 빡빡해 회식을 많이 못해 서운했다”면서 하지만 “나중에 내가 한 턱 쏘기도 했다”고 말하며 너스레를 떨었다.

이번 영화를 통해 데뷔 이래 첫 악역을 연기한 장근석은 ‘이태원 살인사건’의 유력한 용의자 한국계 미국인 피어슨역을 맡았으며 극중 한국계 미국인답게 유창한 영어를 구사했다.

이날 장근석은 블랙으로 치장한 정장에 여성스러운 느낌의 검은 머플러를 목에 매고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영화‘이태원살인사건’은 1997년 4월 이태원 햄버거 가게에서 일어난 실제 살인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

당시 10대 한국계 미국인 두명이 용의자 선상에 올랐으나 결국 둘 다 무죄로 풀려났다. 9월 10일 개봉 예정.

사진=동아닷컴 박화용 기자 inphoto@donga.com

영상취재=동아닷컴 박영욱기자 pyw06@donga.com

[동영상바로가기]장근석 “촬영장 분위기 메이커는 바로 나”

[화보]냉혹한 눈빛의 장근석­…‘이태원 살인사건’ 언론 시사회
[화보]영화 ‘이태원 살인사건’ 주인공 장근석
[관련기사]영화 ‘이태원 살인사건’ 장근석, “난 청춘이야 아, 연애하고 싶다”
[관련기사]장근석, 살인용의자 변신…“섬뜩하나요?”
[관련기사]실화 모티프 삼은 ‘이태원 살인사건’, 예고편 세 차례 심의 반려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당영등굿, 처용무 등 우리 무형문화재 5건이 유네스코 세계무형유산(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으로 등재됐다.

문화재청은 30일(현지시간) 아랍에미리트 아부다비에서 열린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서 강강술래 등 5건이 세계무형유산 목록에 올랐다고 말했다.

한국은 이미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 판소리(2003년), 강릉단오제(2005년) 등 3건이 등재돼 있어 모두 8건의 세계무형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이번에 세계무형유산이 된 강강술래(중요무형문화재 제18호)는 설, 대보름, 추석 등에 행해진 노래, 무용, 음악이 삼위일체로 어우러진 종합예술이다. 춤을 추는 여성 가운데 한 사람이 선소리를 하면 모든 사람이 뒷소리를 받는 선후창의 형태로 노래하고, 노랫소리에 맞춰 둥글게 원을 그리며 춤을 춘다.

남사당놀이(중요무형문화재 제3호)는 조선후기 남사당패가 농어촌을 돌며 주로 서민층을 대상으로 했던 놀이로 풍물놀이, 버나(대접 돌리기), 살판(땅재주), 어름(줄타기), 덧보기(탈놀이), 덜미(꼭두각시놀음)가 이어진다. 양반사회의 부도덕성을 놀이를 통해 비판하고 민중의식을 일깨우는 역할을 했다.

영산재(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는 49재의 한 형태로 영혼이 불교를 믿고 의지함으로써 극락왕생하게 하는 의식이다. 해금, 북, 장구 등을 연주하고 바라춤, 나비춤등을 추며 영혼에 제사를 지낸다.

제주칠머리당영등굿(중요무형문화재 제71호)은 제주시 건입동에 있는 신당인 칠머리당에서 마을 수호신에게 하는 굿으로 영등신에 대한 제주도 특유의 해녀신앙과 민속신앙이 담겨 있으며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해녀가 하는 굿이다.

처용무(중요무형문화재 제39호)는 궁중 무용 가운데 유일하게 사람 형상의 가면을 쓰고 추는 춤으로 가면과 의상, 음악, 춤이 어우러진 무용예술이다. 통일신라 시대 처용이 아내를 범하려던 역신(疫神·전염병을 옮기는 신) 앞에서 자신이 지은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춰서 귀신을 물리쳤다는 설화를 바탕으로 한다.

유네스코는 2001년부터 격년제로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Masterpieces of the Oral and Intangible Heritage of Humanity)' 프로그램을 실시해 국가별로 구전 및 무형유산 등재신청을 받아 지정해왔다. 이 프로그램은 국가당 신청건수를 1건으로 제한해 2005년까지 구전 및 무형유산으로 등재된 문화유산은 70개국 90건에 불과했다.

하지만 유네스코는 2006년 무형유산보호협약이 발효되면서 각국별 신청 건수를 제한하지 않고, 신청된 무형유산은 대부분 세계무형유산으로 등재해주는 쪽으로 심사기준을 바꾼 '대표 목록(Representative List)'제도를 도입했다.

올해는 새 프로그램이 시행된 첫해로 22개국이 무형유산 76건을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에 올렸고, 이 가운데 한국 무형유산 5건도 세계무형유산으로 인정받게 됐다. 한국은 당초 조선궁중음식을 포함한 6건을 등재신청했으나 이것이 세계무형유산 목록에 오르면 상업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이유로 사전 자문회의에서 탈락했다.

이건무 문화재청장은 "세계무형유산은 '세계유산(World Heritage)' 제도와 달리 가치를 따지기보다는 문화 다양성을 인정한다는 차원이다. 국민적 관심을 높여 무형유산 보존에 보탬이 될 것으로 본다"면서 "지난달 무형문화재 40건을 등재 신청해 내년에는 세계무형유산이 더 많이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인터넷뉴스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