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후보 TV토론]『토론이 없다』 김빠진 미디어선거

  • 입력 1997년 7월 30일 20시 56분


여야 3당후보가 확정된 뒤 처음으로 지난 28일부터 3일 동안 TV방송3사 합동으로 진행한 1차 대통령후보자초청 TV토론회는 대체로 유권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 참여연대 등 시민단체들은 이번 TV토론회를 후보자의 정책적인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이끌어가겠다는 당초 취지와는 달리 심층적인 토론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 문제점 ▼ 가장 큰 문제점은 백화점식 나열식 질문으로 인해 각 후보자들로부터 구체적이면서도 실천적인 정책대안이 담긴 답변을 이끌어내지 못했다는 점이다. 패널리스트들은 분야별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토론회마다 비슷한 질문들을 던졌으며 제한된 시간에 비해 너무 다양한 주제를 한꺼번에 다루는 바람에 심층적인 답변을 이끌어내지 못했다. 또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답변에 대해서는 추가질문을 통해 분명한 정책적 차별성을 드러내도록 하고 현실성이나 실천가능성이 있는지를 확인해야 하는데도 단발성 질문으로 끝낸 경우가 많았다. 서울 공선협 TV토론 시민평가위원회는 28, 29일 이틀 동안의 TV토론회에 대한 평가보고서에서 28일(신한국당 이회창후보)의 경우 총 56회의 질문중 1회성으로 끝난 질문이 40회(71.7%)였으며 29일(자민련 김종필 후보)은 총 66회의 질문중 42회(63.6%)가 1회성 질문이었다고 분석했다. 시민평가위는 『1회성 질문이 많아 쟁점없는 토론회가 되고 말았으며 「간담회 형태의 그룹인터뷰」 정도의 수준에 머물렀다』고 혹평했다. 이로 인해 어떤 경우에는 후보자에게 일방적인 해명 기회만 줬다는 지적도 나왔다. 예를 들어 이후보의 아들 병역문제의 경우 2분의 제한시간을 넘겨 6분여 동안 답변을 한데다 의문점에 대한 추가질문이 없었고 김후보의 89억원 비자금설도 해명을 듣는데 그쳤다는 설명이다. 질문내용이 대다수 국민이 공감하는 국가정책의 우선순위를 고려하지 않은 점도 문제였다. 대통령후보자의 정책토론회에서 반드시 다뤄야 할 고속전철문제 사교육비문제 韓日(한일)영해분쟁문제 등이 28일에는 전혀 제기되지 않았다가 29일 토론회에서 처음 등장했다. ▼ 개선방안 ▼ 전문가나 시민단체 관계자들은 우선 앞으로 진행될 2차 TV토론회부터는 토론회마다 주제를 정해 보다 심층적인 토론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朴元淳(박원순)참여연대 사무처장은 『토론회마다 외교분야 경제분야 등 분야별로 주제를 정해 집중토론을 벌여 후보자들이 갖고 있는 정책대안이 분명히 드러나게 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지난 5, 6월에 했던 토론회와 마찬가지로 후보자 1명을 놓고 여러명의 패널리스트가 번갈아가며 질문하는 방식으로 진행한 것이 근본적인 한계였다는 지적도 나왔다. 金義煜(김의욱)공선협 정책부장은 『원칙적으로 후보자들이 모두 한자리에 나와 동일한 주제를 놓고 질문 답변을 해야만 유권자들에게 분명한 선택의 기회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김부장은 『다만 그같은 형식의 토론회가 후보자간의 불필요한 공방이나 지엽적인 토론으로 흐르지 않도록 사전에 충분한 준비를 거쳐 핵심쟁점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김정훈기자〉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