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법인 CEO “2일 이후 변경 가능성”
車업계, 美관세 앞두고 대책 고심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수입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시행을 앞두고 각국 자동차 업계가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지난달 31일(현지 시간)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현대자동차는 미국 딜러들에게 관세로 인한 가격 인상 가능성을 고지했다.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 최고경영자(CEO)는 현지 딜러들에게 발송한 공문을 통해 “현재의 차 가격은 보장되지 않으며 4월 2일 이후 도매되는 제품에 대해서는 가격이 변경될 수 있다”고 밝혔다.
파커 CEO는 “관세는 쉽지 않다”며 이런 가격 변경 검토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에 따른 것임을 시사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4년간 210억 달러(약 31조 원)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했지만 현지 생산량 증대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어 일시적 피해 대비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KOTRA가 발간한 ‘대전환 시대, 일본 자동차 산업의 대응 전략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도요타, 혼다, 닛산 등 일본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미국의 고관세 정책에 대응하기 위해 이중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하이브리드 전기차(HEV) 판매를 강화하고, 신흥국 중심의 수익성을 제고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를 통해 관세로 인한 부담을 완화하면서 차세대 전기차(EV)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멕시코에서 미국으로의 생산설비 이전 및 미국 내 현지 생산 확대를 추진하며 공급망 재편과 모빌리티 혁신을 통해 근본적인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이항구 한국자동차연구원 연구위원은 “이미 현지 차량 판매가가 높은 수준이라 차량가를 인상하더라도 큰 폭의 인상은 어려울 것”이라며 “도요타는 비용 절감에 집중하는 등 업체별로 관세 부과에 대한 차별화된 대응책 마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했다.
김재형 기자 monam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