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포스텍에 ‘원자력 안전 인재’ 대학원 과정 만든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5월 17일 03시 00분


코멘트

원안위, 39개 기관과 MOU 체결


최근 인공지능(AI) 구동에 필요한 막대한 전력 생산 방식으로 ‘소형모듈원자로(SMR)’가 급부상하면서 원자력 안전 분야 전문 인력 수요가 늘고 있다. 정부가 원자력 안전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KAIST, 포스텍(포항공대)에 대학원 과정을 개설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등 산업계와 학계, 연구기관 등 39곳이 협력할 계획이다.

원자력안전위원회(원안위)는 16일 서울 중구 코리아나호텔에서 ‘원자력 안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협약(MOU) 체결 및 다짐대회’를 개최했다. 이날 협약식에서는 39개 기관이 서명했다.

원안위는 기존에 대학 학사 과정을 대상으로 진행하던 원자력 안전 관련 강의 개설과 현장 실습 등의 교육과정을 대학원까지 확대해 석박사급 인력을 양성할 방침이다. 올해는 KAIST와 포스텍 등 2개 대학이 선정됐다. 선정된 대학원은 총 5년간 지원을 받을 수 있고, 1년 차에는 과정 기획 및 인프라 구축에 2억 원, 2년 차부터는 과정을 운영하는 데 매년 최대 4억 원까지 지원받게 된다.

신설되는 원자력 안전 교육 과정에서 정부가 강조하는 것은 ‘융합’과 ‘현장’이다. 통합적 전문지식을 갖춘 인력을 양성해 원자로 설계, 장비 개발, 원전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융합인재를 키울 계획이다. 이에 따라 KAIST는 원자력·방사선, 정책학, 심리학 등을 융합한 ‘마이크로 그래듀에이트 프로그램’을 마련했다. 포스텍 역시 미래 기술과 인문사회 분야를 원자력에 적용한 ‘CNEMAS(Center for Nuclear Energy and MegA Science Technology)’를 개설할 예정이다. 두 대학은 내년부터 해당 과정을 운영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 참석한 두산에너빌리티, 삼성물산, 한국수력원자력 등 기업 12곳은 현장맞춤형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대학원생 인턴십 및 현장실습 추진 등에 협력할 예정이다. 유국희 원안위 위원장(사진)은 “원자력 안전은 현장의 언어다. 현장 없이 책상에만 앉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현장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kaist-포스텍#원자력 안전 인재#대학원 과정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