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님 늘어난 이마트 ‘실적 반등’ 성공… 1분기 932억 영업이익 전년比 45%↑

  • 동아경제
  • 입력 2024년 5월 16일 17시 48분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 ‘쇄신’ 단행
50여 가지 핵심 품목 최저가 판매하며 소비심리 되찾아
가격 경쟁력 확보하며 이마트 명성 회복·· ·오프라인 고객 83만 명 증가
스타벅스·조선호텔앤리조트·신세계프라퍼티 자회사도 견조한 성장세

이마트가 1분기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 대비 45% 끌어올리며 수익성을 큰 폭으로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이마트는 별도 기준 매출 4조2030억 원, 영업이익 932억 원의 1분기 실적을 16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3%, 영업이익은 44.9% 각각 성장했다.

연결 기준으로는 1분기 매출 7조2067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471억 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245% 신장 되는 호실적을 거뒀다.

업계에서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이 내세운 강도 높은 쇄신 정책이 주효했다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로 이마트는 가격파괴 선언을 한 뒤 경쟁사 대비 단가 경쟁력을 높이는 데 집중했고 유통 노하우를 극대화해 핵심 상품들의 가격을 끌어내리는 데 성공했다. 특히 이마트는 50여 가지의 핵심 제품들을 최저가로 판매하며 소비자들의 소비심리를 잡는 데 역량을 집중했다고 한다.

이는 이마트 방문 고객 수에서도 증명됐다. 이마트를 방문한 소비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83만 명(2.3%) 늘어나며 고객들을 이마트로 돌아오게 하는 데 성공했다.

창고형 할인점인 트레이더스도 호실적을 거뒀다. 트레이더스는 1분기 9157억 원의 매출과 306억 원의 영업이익을 거뒀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1.9%, 영업이익은 313.5% 각각 늘어난 실적이다.

고물가로 인해 저렴한 대용량 제품을 선호하는 소비자 심리가 작용하고, 트레이더스 푸드코트 ‘T카페’가 소비자들 사이에서 입소문이 나면서 호실적을 뒷받침했다는 해석이다.

이마트의 연결 자회사들도 준수한 실적을 거뒀다.

스타벅스(SCK컴퍼니)는 신규점 출점 효과와 국제 원두 가격 하락, 폐기 감축 등 원가 개선 노력에 집중해 전년 대비 122억 원 늘어난 327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신세계프라퍼티는 스타필드 주요 매장인 ▲코엑스 ▲고양점 매출 실적 호조에 따라 지난해 동기 대비 93억 원 증가한 122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조선호텔앤리조트는 투숙률 개선으로 흑자를 지속했으며 지난해 동기 대비 14억 원 늘어난 54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팬데믹 종료 이후 좋은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마트 관계자는 “앞으로도 이마트만의 조달 노하우를 바탕으로 오프라인 점포의 가격 경쟁력을 공고히 하고 다양한 온·오프라인 협업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며 탄탄한 성장을 끌어낼 것”이라고 말했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