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희망적금 만기되자 주식·코인 투자?… 3월 통화량, 역대 최대 증가

  • 뉴시스
  • 입력 2024년 5월 16일 13시 26분


코멘트

3월 M2 평잔 3994.0조로 10개월째 증가
증가폭 64.2조로 역대 최대…증가율 15년만에 최고
美 금리 인하 기대에 주식·가상화폐 대기 쏠려

ⓒ뉴시스

3월 시중에 풀린 돈이 역대 최대폭으로 증가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에 따른 수령금이 대규모로 수시입출금식저축성예금 등으로 옮겨지면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에 증시와 가상자산 시장이 활황을 띄면서 주식과 코인 투자 대기 수요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24년 3월 통화 및 유동성’에 따르면 3월 M2(광의통화, 평잔)는 3994조원으로 전월(3929조9000억원)보다 64조2000억원 늘었다. 1986년 통계 작성 이후 최대 증가 폭이다. 증가율로는 전월대비 1.6% 늘며 2009년 2월(2.0%) 이후 최대치를 보였다.

M2는 지난해 5월까지 1999년 이후 24년 만에 처음으로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인 후 6월(0.3%)부터 반등에 나서 10개월 연속 올랐다. 전년동월대비로는 4.9% 늘어 전월 증가 폭(3.4%)보다 커졌다. M2의 전년동월대비 증감률은 2021년 12월(13.2%) 이후 17개월 연속 둔화세를 보이다가 지난해 6월부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M2는 현금과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 예금 등 협의통화(M1)에 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환매조건부채권(RP) 등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통화 지표로 통상 시중에 풀린 통화량을 의미한다.

금융상품별로는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18조6000억원), 정기예적금(전월대비 +12조9000억원), MMF(+10조7000억원), 수익증권(9조2000억원) 등이 증가한 반면, 시장형상품(-4조9000억원)은 감소했다.

경기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35조6000억원)과 기타부문(+9조8000억원), 기업(+7조5000억원)등이 증가했지만, 기타금융기관(-6000억원)은 감소했다.

시중 통화량 증가는 청년희망적금 만기 도래와 글로벌 각국의 금리 인하 기대에 높아진 위험 자산 투자 수요가 맞물렸기 때문이다. 2022년 2월 출시된 정책상품인 청년희망적금 만기일이 도래하면서 수령금으로 주식과 코인 투자 수요가 늘었다는 해석이다.

지난 3월 중순 코스피 지수는 2700선 위로 올라섰고, 같은달 비트코인은 한때 1억원을 돌파했다. 청년희망적금의 만기 규모는 20조원 규모로, 이중 청년도약계좌로 적금을 이어가기로 한 연계 가입자수는 지난달 기준 49만 명으로 전체 202만 명 중 24.3%로 집계됐다.

이지선 한은 경제통계국 금융통계팀 과장은 “피벗(통화정책 전환) 기대가 지속되는 가운데 청년 희망 적금 만기 도래에 따른 수령금이 요구불 예금과 수시입출식저축성 예금 등 투자 대기 상품으로 들어왔다”고 말했다.

이어 “코스피가 2700선을 기록한 데다 가상화폐 시장도 활기를 띄면서, 당장 투자하기 보다는 지켜보면서 투자하겠다는 대기 자금으로 쏠렸다”고 덧붙였다.

단기자금 지표인 M1은 현금통화,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저축성예금이 모두 늘며 전월대비 27조2000억원 늘어난 1244조8000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대비 증가율은 4.3%로 3개월 연속 상승했다.

금융기관유동성은 전월보다 50조5000억원 증가해 0.9% 늘었고, 광의유동성은 2월보다 87조7000억원 증가해 1.3% 확대됐다.

[서울=뉴시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