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기존 1주택자가 인구가 줄어드는 곳에 위치한 공시가격 4억 원 이하의 ‘세컨드 홈’(두 번째 집)을 추가로 사더라도 1주택자처럼 종합부동산세 등의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올해 과세분부터 이러한 세제 혜택을 적용할 수 있도록 이달 중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발의하고 6월에 지방세법 시행령을 개정할 예정이다.
기획재정부는 15일 열린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의 ‘인구감소지역 부활 3종 프로젝트’ 추진 방안을 발표했다.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한다는 취지다.
‘세컨드 홈’ 혜택,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부산 동·서·영도구와 대구 남·서구, 경기 가평군은 제외
정부는 기존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의 주택 1채를 추가로 취득해도 1세대 1주택자로 인정해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재산세 등에서 세제 혜택을 줄 계획이다. 특례 대상 지역은 인구감소지역 89곳 가운데 부산 동구·서구·영도구와 대구 남구·서구, 경기 가평군을 제외한 83곳이다.
대상 주택은 올해 경제정책방향이 발표된 1월 4일 이후 취득한 공시가 4억 원 이하의 주택이다. 예를 들어 수도권에 위치한 공시가 12억짜리 주택에 거주하는 A 씨가 인구감소지역인 충북 괴산군의 공시가 3억짜리 주택을 구입한 경우에도 A 씨는 1세대 1주택자처럼 세제 혜택을 받게 된다.
다만 특례 지역에 1주택을 보유한 사람이 같은 지역에 있는 주택을 추가로 사는 경우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일례로 경북 문경시에 주택을 1채 보유한 B 씨가 문경시에 추가로 1채를 사면 1세대 1주택자로 인정받지 못한다.
89곳 가운데 부산 동구·서구·영도구와 대구 남구·서구, 경기 가평군은 제외
인구감소지역 소규모 관광단지 추진…지역특화형 비자 확대
또한 정부는 지역 방문 인구를 늘리기 위해 인구감소지역에 지정 요건과 절차를 대폭 간소화한 ‘소규모 관광단지’를 도입해 지역 맞춤형 관광 인프라를 확충할 방침이다. 관광단지 지정 요건은 기존 50만㎡에서 5만∼30만㎡로 축소하고 필수시설 요건은 3종에서 2종으로 완화할 계획이다.
아울러 정부는 외국인 산업인력 및 정주인구를 확대하기 위해 지역특화형 비자 참여 지역을 28곳에서 66곳으로 늘릴 예정이다. 쿼터(지역 할당 인원)도 1500명에서 3291명으로 약 2.2배 확대할 방침이다.
인구 소멸 지역의 집값마저 투기꾼들이 올려 놓음으로 해서, 지역민들은 집도 절도 없이 떠돌게 하기 위한 특효 정책이라고 본다.
2024-04-15 14:28:43
좋은 정책이라고 본다. 지금 시골은 젊은 사람이 도시로 다 빠져나가 점점 유령화 되어가고 있다. 세컨드 홈으로 사람들이 집을 사면, 가족이나 친적들이 놀러 와서 상가도 활성화될 것이고 사람소리 들이 들릴 것이다. 지금 농촌에는 모두 인구의 고령화로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 부모님 사시는 마을도 10년 전만해도 10가구 이상이 살았으나 지금은 모두 돌아가시거나 자식들집 등으로 이주하여 우리 부모님 두 분만 달랑 남아계신다. 경치는 정말 좋은 이곳에 사람들이 좀 모여들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24-04-15 13:08:46
아이고 감사합니다. 또 투기를 하는데 세제혜택까지 주시다니요 ㅎㅎ 지방에 있는 집 털어서 지방사는 시민들까지 삶이 퍽퍽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풀려면 확실히 다 풀고, 아예 주택수 세지말고 가격총합으로 바꾸어서 해야된다. 비싼 주택 한채가 시골가면 열채도 더 살수 있다.
2024-04-15 15:03:13
거꾸로 생각해봐라. 인구 소멸지역으로 거론된 곳... 빼고, 구매하면 된다. 바보처럼 걸려들지 마라.
2024-04-15 14:28:43
좋은 정책이라고 본다. 지금 시골은 젊은 사람이 도시로 다 빠져나가 점점 유령화 되어가고 있다. 세컨드 홈으로 사람들이 집을 사면, 가족이나 친적들이 놀러 와서 상가도 활성화될 것이고 사람소리 들이 들릴 것이다. 지금 농촌에는 모두 인구의 고령화로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 부모님 사시는 마을도 10년 전만해도 10가구 이상이 살았으나 지금은 모두 돌아가시거나 자식들집 등으로 이주하여 우리 부모님 두 분만 달랑 남아계신다. 경치는 정말 좋은 이곳에 사람들이 좀 모여들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24-04-15 14:10:48
세컨드 홈이라...... 어찌봐야 할까? 시골을 유령의 마을로 만들수도 있을텐데. 집은 있고 빈집으로 어짜다 주말에 내려와서 그것이 맞는 것일까? 가령 현지인에게 집값 유지만큼 그것이 중요할까? 유령의 펜션단지에 유령의 마을이......
2024-04-15 13:39:44
소멸지역 집사면왜 혜택을주나 어차피 소멸지역인디 말이다 집사는데 대출불허 절대 대춣해주지 마라 대출해주면 이건 완전 사기꾼 집단인기라
2024-04-15 13:08:46
아이고 감사합니다. 또 투기를 하는데 세제혜택까지 주시다니요 ㅎㅎ 지방에 있는 집 털어서 지방사는 시민들까지 삶이 퍽퍽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2024-04-15 12:39:04
인구 소멸 지역의 집값마저 투기꾼들이 올려 놓음으로 해서, 지역민들은 집도 절도 없이 떠돌게 하기 위한 특효 정책이라고 본다.
댓글 8
추천 많은 댓글
2024-04-15 12:39:04
인구 소멸 지역의 집값마저 투기꾼들이 올려 놓음으로 해서, 지역민들은 집도 절도 없이 떠돌게 하기 위한 특효 정책이라고 본다.
2024-04-15 14:28:43
좋은 정책이라고 본다. 지금 시골은 젊은 사람이 도시로 다 빠져나가 점점 유령화 되어가고 있다. 세컨드 홈으로 사람들이 집을 사면, 가족이나 친적들이 놀러 와서 상가도 활성화될 것이고 사람소리 들이 들릴 것이다. 지금 농촌에는 모두 인구의 고령화로 문제가 심각하다. 우리 부모님 사시는 마을도 10년 전만해도 10가구 이상이 살았으나 지금은 모두 돌아가시거나 자식들집 등으로 이주하여 우리 부모님 두 분만 달랑 남아계신다. 경치는 정말 좋은 이곳에 사람들이 좀 모여들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2024-04-15 13:08:46
아이고 감사합니다. 또 투기를 하는데 세제혜택까지 주시다니요 ㅎㅎ 지방에 있는 집 털어서 지방사는 시민들까지 삶이 퍽퍽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