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9년만에 적자… 작년 5559억 순손실

  • 동아일보
  • 입력 2024년 3월 23일 01시 40분


코멘트

이자비용 증가 속 PF부실 겹쳐
연체율 6.6% 12년만에 최대폭↑
금융권 PF대출 136조로 늘어
“구조조정 본격화땐 뇌관될 수도”

국내 저축은행 업계가 지난해 5000억 원이 넘는 적자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여파가 마무리됐던 2014년 이후 첫 적자다. 기준금리 상승으로 이자 비용이 늘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을 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 놓는 대손충당금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앞으로 PF 사업장 구조조정이 본격화되면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건전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 9년 만의 적자 전환

2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저축은행 79곳의 당기순이익은 전년보다 2조1181억 원 감소해 5559억 원의 당기순손실을 낸 것으로 집계됐다. 저축은행들이 적자를 낸 건 2011년 저축은행 부실에 따른 대규모 영업정지의 여파가 남아 있던 2013년 회계연도(2013년 7월∼2014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절반가량의 저축은행이 당기순손실을 봤다”고 말했다.

기준금리 상승으로 이자로 나간 비용이 전년보다 2조4331억 원(83.4%) 늘어난 데다 PF 대출 관련 대손충당금 전입액이 1조3000억 원 늘어난 영향이 컸다. 대손충당금은 대출을 떼일 것에 대비해 쌓아두는 돈이다.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보여주는 지표들도 나빠졌다. 지난해 말 저축은행들의 연체율은 6.55%로 전년보다 3.14%포인트 상승했다. 2011년 이후 12년 만에 가장 큰 상승 폭이다. 부동산 관련 대출 비중이 큰 기업 대출 연체율(8.02%)이 5.12%포인트 급등했다. 연체 기간이 3개월이 넘어 부실채권으로 분류되는 ‘고정이하여신’ 비율 역시 7.72%로 3.64%포인트 뛰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들이 손실을 충분히 흡수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저축은행들의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14.35%로 1년 전보다 1.2%포인트 상승해 여전히 규제 비율(7∼8%)보다 높은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연체율은 과거 위기 때와 비교하면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했다. 저축은행 사태 당시였던 2011년 말 연체율은 20.3%였다.

● “PF 구조조정 본격화 땐 흔들릴 수도”

올해도 저축은행들의 실적 전망은 어둡다. 부동산 PF 부실에 따른 충당금 적립 부담이 계속되는 탓이다.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은 “현재로선 충당금 적립 규모가 조금 더 커질 가능성이 있다”며 “올해 실적이 저점을 찍지 않을까 예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 금융권의 부동산 PF 대출 잔액과 연체율도 계속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금융권의 PF 대출 잔액은 135조6000억 원으로 1년 전보다 5조3000억 원 늘었다. PF 대출 연체율도 2.7%로 전년보다 1.51%포인트 상승했다.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4.89%포인트 뛰며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고, 증권(3.35%포인트), 상호금융(3.03%포인트) 등이 뒤를 이었다. 김병칠 금감원 부원장보는 “PF 연착륙 정상화 방안이 본격적으로 실행되기 시작하면 연체율이 하향 안정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일각에선 추후 부실 사업장 정리에 따라 충당금 적립 부담이 커지면서 흔들리는 곳이 나타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석병훈 이화여대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금융권의 상황이 과거 금융위기나 저축은행 사태 등을 떠올릴 정도로 위험한 것은 아니다”라면서도 “PF 사업장 정리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면 저축은행과 중소 증권사 같은 경우 흔들릴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정순구 기자 soon9@donga.com
#저축은행#적자#5559억 순손실#pf부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