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매도 금지’ 승기 꽂았지만…“떡상” vs “떡락” 엇갈린 개미들

  • 뉴스1
  • 입력 2023년 11월 6일 09시 24분


코멘트
ⓒ News1 DB
ⓒ News1 DB
“주가가 폭등할 것이다. 외국인 공매도꾼들이 발 묶인 상황에서 (주가가) 야생마처럼 달릴 것이다.”

“전체 섹터 걸쳐서 외인 순매수 시드가 쭉 빠져나갈 거다. 이 조치가 얼마나 허무맹랑하고 터무니없고 염치없는 짓거리인 줄 아느냐.”

금융당국이 6일부터 내년 상반기까지 공매도를 전면 금지한다. 그동안 공매도 제도가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며 전면 금지를 청원해 왔던 5만 동학개미의 소원이 이뤄진 것이다. 하지만 공매도 금지에 따른 증시 영향을 두고 개인 투자자들의 전망은 엇갈렸다. 누군가는 폭등을, 누군가는 폭락을 점쳤다.

금융위원회는 5일 임시 금융위원회를 열고 6일부터 내년 6월30일까지 유가증권시장, 코스닥시장 및 코넥스 시장 상장 주권 등 국내 전체 증시에 대해 공매도를 금지하기로 의결했다. 시장조성자, 유동성공급자 등 시장 안정을 훼손할 염려가 없다고 판단된 일부 경우만 예외적으로 공매도가 허용된다.

종목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종목토론방, 주식 카페 등에선 개인투자자들의 반응이 엇갈렸다.

일부 개인투자자들은 ‘기울어진 운동장’ 탓에 벌어진 주가 하락이 공매도 금지 조치로 해소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들은 그동안 공매도가 주식시장 과열을 막는 순기능을 보이기 보단, 개인보다 우월한 정보력과 자금을 가진 외인·기관이 이른바 ‘개미 털기’를 하는 수단으로 악용돼 왔다고 주장했다.

한 개인투자자들은 “불법 무차입 공매도만 사라져도 개인 투자자들이 승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에코프로(086520)에 투자한 한 투자자는 “코로나 시기 공매도 금지 기간 6개월간 주가가 3배 뛰었다”며 이번에도 상승할 것이란 예상을 내놨다. 또 다른 투자자도 “해외 증권사에서 담합해서 공매도를 쳐 (주가를) 찍어 누르는 짓은 더 이상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공매도 전면 금지가 전체 증시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란 예상도 있었다. 공매도 금지로 외국인 자금이 빠져나갈 것이라는 전망이다. 국내 기관은 정해진 자산 배분 비율에 따라 국내 주식 비중을 단번에 줄일 순 없지만, 외국인 자금은 우리나라보다 규제가 덜한 국가로 이탈할 수 있다는 것을 우려한 것이다.

한 투자자는 “외국인들이 빠지면 내일 폭락이 예상된다”고 했다. 또 다른 투자자는 “외국인 돈이 얼마나 큰데, 한국 증시가 멋대로 자꾸 룰을 바꾸면 반발이 엄청날 것”이라고 말했다. “신난 건 단타족뿐이다. 외인들이 우리나라 대기업에서 수조원을 빼 가면 난리가 날 것”이라는 글도 올라왔다.

이번 정부 조치가 부족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정부는 시장조성자에 대해선 시장 안정을 훼손할 염려가 없다며 예외적으로 공매도를 허용하게 뒀는데, 반쪽짜리 조치에 불과하단 것이다. 한 투자자는 “시장조성자가 공매도에 얼마나 많은데 금지라며 쇼를 한다”며 “정말로 바꿀 생각이 없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도 개선도 촉구했다. 정부는 개인과 외국인·기관 투자자 간 대주 상환기간 연장·담보비율 인하 등이 다르게 적용돼 형평성 문제가 제기된 것과 관련, 기울어진 운동장의 근본적인 해소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한 투자자는 “정부 여당이 의지만 있으면 공매도 전산시스템 도입, 상환기간과 담보비율 통일 등을 통해 올해 안에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